PR서비스 피(fee)책정, 현실감 없다
PR서비스 피(fee)책정, 현실감 없다
  • 문용필 기자 (eugene97@the-pr.co.kr)
  • 승인 2014.05.29 14: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PR학회 춘계학술대회…적절한 보상방안은?

[더피알=문용필 기자] 한국PR학회(회장 김병희 서원대 교수)가 최근 서울 서강대학교 가브리엘관에서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공동체 가치 실현을 위한 PR의 정체성과 철학’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커뮤니케이션 조력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PR의 의미, 그리고 역할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200여명의 PR 관련 학자들과 대학원생, PR회사 임직원들이 참석한 이번 학회에서는 6개 연구분과와 1개의 신진학자 세션, 6개 기획세미나에서 총 55편의 논문이 발표됐다.

특히, ‘PR전문직의 정착에 필요한 적절한 보상체계’라는 주제로 펼쳐진 기획세미나에서는 유사 전문직 보상체계의 국내외 사례, 미국 PR시장과 국내 PR시장의 보상체계 비교, 국내 PR 전문직 정착을 위한 적절한 보상체계 시안 등에 관한 발표와 토론이 관심을 모았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김효숙 숭실대 교수는 한미 양국의 변호사와 경영 컨설턴트의 보상체계를 연구, 분석했다.

김 교수는 전문직의 조건으로 △전문인으로서의 가치관 △전문인으로 구성된 조직체의 회원 △전문적인 규범의 준수 △지적 전통과 지식체계 △전문적 훈련을 통해 습득한 기술을 제시하면서 “PR이 전문직으로 인정받기 위한 선결과제는 기획서 작성, 보도자료 배포, 기자간담회, 인터뷰 등의 PR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라고 밝혔다.

토론자로 나선 박종민 경희대 교수는 국내 광고의 경우, 커미션(commission)제로 시작된 데 비해 PR분야는 시간제(time fee)로 시작됐다면서 국내 PR업계는 변호사나 경영 컨설턴트에 비해 전문성도 떨어지고 훨씬 낮은 보수체계를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PR회사들이 스스로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선욱 한라대 교수와 김장열 미 콜로라도 주립대 교수는 PR회사 임원급, 전·현직 정부 및 공공기관 PR담당자, 기업의 PR실무자, 학계 전문가 등 총 21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결과를 발표하면서 PR서비스에 대한 대가 청구와 지불에 대한 몇 가지 현상들을 보여줬다.

PR사와 PR주의 충돌…PR회사들 스스로 전문성 높여야

유 교수와 김 교수는 “우리나라 PR실무자들은 ‘리테이너 피(retainer fee)’와 서비스 범위에 대해 PR사와 PR주의 이해관계가 상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며 “최근 10년간의 PR산업의 양적 팽창과 전문화 대비 전반적으로 시장의 리테이너 피는 크게 상승하지 않았거나 고정 피에 해당하는 서비스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타임 차지/시간급(time charge/hourly rate)’에 근거한 피와 인건비 청구와 지불에 대한 PR회사와 PR주의 충돌 현상을 거론하면서 “PR산업에서는 시간급에 근거한 피 청구 자체가 인정이 안 되는 경우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고, 디스카운트나 상한선 제시 현상도 많 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이슈나 위기, 컨설팅, PA(Public Affairs) 분야 등은 예외가 있지만, 언론 퍼플리시티나 소셜미디어 서비스는 PR서비스의 가격대가 이미 저가로 형성돼 있어 가격을 상승시키기 어려울 뿐 아니라, ‘마크업(markup·이윤폭)’조차 인정하지 않거나 디스카운트하는 현상도 종종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유 교수와 김 교수는 이같은 PR실무자들의 인식과 관련한 환경적 요인으로 △리테이너 피의 고정화 및 고정 피에 해당되는 서비스 수 증가의 원인이 되는 PR시장의 과다한 경쟁 △PR고객사의 조직 환경 및 내부정책 △PR회사의 PR고객사에게 형성돼 있는 갑을 문화△언론 및 미디어 환경 변화를 지목했다.

그러면서 “PR과 같은 지식 서비스에 대한 가치 인정과 존중의 부재는 PR활동에 대한 보상이 충분히, 가치 있게 이뤄지지 않는 근본 원인이 되고 있다”며 “자격증제도와 관련한 진입장벽의 문제도 존재하지만 경영 및 회계 컨설팅에 대한 직급별 시간 단가도 인정이 어려운 현재 상황을 볼 때, 우리사회에서 지식 서비스에 대한 가치 인정과 이에 상응하는 보상 문화는 그다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대부분의 인터뷰 대상자들은 PR실무자, 또는 PR회사의 전문성 부재를 공통적으로 언급했다”며 “그러나 모두가 전문성의 부재를 지적하면서도, PR실무자의 전문성이 확보되고 그만한 PR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인정이 이뤄진다면, 이에 대한 대가를 충분히, 혹은 더 지불할 수 있으며, 적절한 피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공통적 의견 역시 존재했다”고 전했다.

다양한 PR서비스, 단순한 보상체계

청주대의 김찬석 교수와 이현선 교수는 퍼블리시티, 기획, 그리고 자료수집(클리핑)으로 구분해 각 항목에서 보완되거나 고려돼야 할 항목들을 제안했다.

퍼블리시티와 관련해 이들은 동일한 매스미디어에 게재되는 것을 고려한 광고 가격대와 광고와의 효과 차이 비율, 게재되는 미디어의 형태, 게재되는 보도 분량 및 길이 등 4가지 측면을 고려해 적용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기획서 작성은 “장기간에 걸쳐 PR활동을 진행하다 보면 중간에 조사를 실시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비용들을 감안하면 보고서 또는 기획서 작성 시 리서치 비용에 대한 항목을 추가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며 서베이의 경우에는 100명 기준으로 100만~200만원, FGI(집단심층면접)의 경우에는 1개 그룹 기준으로 150만~200만원의 가격을 보상체계 시안으로 제시했다.

김 교수와 이 교수는 뉴스클리핑 보상체계 안에 대해 “클리핑의 범위가 기사검색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면 그 용어를 스캐닝과 모니터링으로 바꿔야 할 것”이라며 “사원급을 중심으로 10만원의 단가를 책정해 놓고 있다. 그러나 클리핑의 범위가 기사 검색 중심”이라고 밝혔다.

이어 “문제는 위기 상황을 고려해 스캐닝과 모니터링이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라며 “실제로 PR컨설턴트들의 활동에는 정기적인 이해관계자들과의 미팅이 있고, 비공식적인 조사가 있고, 온라인 서치 등의 작업이 있다. 이러한 작업을 사원급이 한다고 하더라도, 요금 자체에 대한 책정이 좀 더 높아져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