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저널리즘, ‘정치논리’ 빼고 ‘시장논리’ 따라야
혁신저널리즘, ‘정치논리’ 빼고 ‘시장논리’ 따라야
  • 강미혜 기자 (myqwan@the-pr.co.kr)
  • 승인 2015.01.19 12: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 좌담] 2015 언론계 혁신 로드맵 ①
▲(왼쪽부터) 최진순 한국경제신문 기자, 이성규 블로터미디어 기자, 강정수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박사. / 사진: 성혜련 기자

[더피알=강미혜 기자] 뉴욕타임스의 현주소를 적나라하게 짚은 <혁신보고서>는 디지털 시대를 맞은 한국 언론계에도 적잖은 파동을 일으켰다. 혁신 없이는 생존도 없다는 냉정한 명제가 저널리즘 시장을 관통하는 중이다. 디지털 전환기를 맞은 한국 언론계의 기회와 미래는 어디에 있는가? 답을 찾기 위해 저널리즘 혁신가 3인이 의기투합했다. <혁신저널리즘>이란 책을 최근 펴낸 강정수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박사, 이성규 블로터미디어 기자, 최진순 한국경제신문 기자가 그린 한국 언론계의 혁신 로드맵을 3회에 걸쳐 연재한다.

① 혁신저널리즘, ‘정치논리’ 빼고 ‘시장논리’ 따라야
② 충성독자 20만명이면 한국 들었다 놨다 할 수도
③ 모바일 퍼스트에서 이용자 퍼스트로

지난해 5월 공개된 뉴욕타임스 <혁신보고서>가 전 세계 언론에 적잖은 영향을 줬습니다. 그에 비춰봤을 때 책 <혁신저널리즘>은 국내 언론계를 향한 ‘혁신제안서’ 같은 느낌입니다. 책을 통해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은 건가요.

강정수 박사(이하 강) 디지털 시장, 환경에 맞는 저널리즘의 새로운 문법들을 찾자는 겁니다. 한국도 지난 20여 년간 온라인 저널리즘에 관한 다양한 논의들을 해왔어요. 하지만 전통 프린트 매체(=종이신문·잡지)를 디지털화하는 수준이었지 깊이 있는 고민은 없었습니다.

반면 북미나 유럽에선 2013년부터 디지털 환경 그 자체에 대한 새로운 시도들이 있어왔어요. 그러한 흐름을 많이 담았습니다. 시장의 원칙들을 새롭게 익혀나가는 혁신적인 저널리즘은 어떤 것이며 그들의 고민은 무엇이고, 한국 저널리즘이 새로운 20년 역사로 가는 데 필요한 지점을 짚고자 했습니다.

최진순 기자(이하 최) 지난 십수년간 혁신이 한국 저널리즘 지평을 관통해 오면서 혁신하라는 외침은 많았지만 시장, 환경, 관행, 문화라는 벽에 번번이 부딪혀왔습니다. 그저 남들(다른 언론사)이 하니까 나도 하자 정도지, 우리 조건이나 실정에 맞는 혁신의 방법들을 찾아가는 작업은 더뎠고 후순위로 밀쳐졌어요.

정확한 진단을 위해 한국 언론 지형에서 열심히 혁신을 추구하는 분들의 의견을 경청했습니다. 이 책은 완결판이 아니고 진행형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앞으로도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진술들을 계속 보완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성규 기자(이하 이) 저는 기술과 저널리즘 관련 ‘소프트웨어화’를 화두로 잡았어요. 과거 전통미디어는 고속윤전기의 영향으로 많은 부수를 발행할 수 있었고, 그것이 곧 매스미디어 역사가 시작되는 기점이 됐습니다.

1800년대 초 미국에서 일어났던 급속한 기술발전, 새로운 흐름들이 지금 재현되고 있다는 생각이에요. 역사적 교훈을 받아들여 현재의 기술을 수용했을 때 앞으로 저널리즘이 어떻게 바뀔 것인가, 저널리즘 범위가 얼마나 넓어질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고 싶었습니다.

디지털과 모바일이 불과 몇 년 만에 커뮤니케이션 환경, 패턴을 송두리째 바꿔놨습니다. 소비자(독자)는 무섭도록 빨리 바뀌었는데, 지적하신 대로 언론계 혁신 움직임은 더뎠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한국 언론계 디지털 현황을 평가한다면.

지난해 세월호 참사 이후 ‘기레기’라는 단어가 유행처럼 번졌는데 거기에서 중요한 건 온라인 저널리즘이에요. 국내 언론은 네이버로 상징되는 포털의 실검(실시간 검색어) 어뷰징(동일 뉴스콘텐츠 중복전송)을 탈피할 수 없는, 일종의 함정에 빠져 있어요. ▷관련기사: 2014년을 읽는 코드 - 기레기의 유행

그 바탕에는 ‘클릭 지상주의’, 다시 말해 ‘클릭=돈’이라는 인식이 깔려 있고요. 하지만 이제 배너광고의 시대는 끝났습니다. 클릭률에 기대는 것이 아니라 저널리즘 자체로 돈을 벌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야 합니다.

한국 저널리즘을 골병들게 하는 가장 큰 문제는 ‘보험성 광고’라고 생각해요. 언론들이 자기 퍼포먼스에 의해 돈을 버는 게 아니라, 기존의 사회적 위력에 의해 돈을 벌고 있는 상황입니다. ▷관련기사: 매체 범람, 광고 실종… WHY?

상품(뉴스콘텐츠)이 시장에서 안 팔리면 상품을 바꾸고, 그래도 안 통하면 조직을 바꾼다던지 하는 절박감의 논리가 작동하는데 한국 언론계는 시장논리가 아닌 정치논리가 과도하게 지배합니다. 이러니 언론사 전체 매출에서 10%도 안 되는 닷컴조직에 힘을 실어줄 리 있나요? 혁신이 안 되는 거죠. 혁신은 철저하게 시장 논리에 따르는 게 맞다고 봅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