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좌담] 2015 언론계 혁신 로드맵 ②

[더피알=강미혜 기자] 뉴욕타임스의 현주소를 적나라하게 짚은 <혁신보고서>는 디지털 시대를 맞은 한국 언론계에도 적잖은 파동을 일으켰다. 혁신 없이는 생존도 없다는 냉정한 명제가 저널리즘 시장을 관통하는 중이다. 디지털 전환기를 맞은 한국 언론계의 기회와 미래는 어디에 있는가? 답을 찾기 위해 저널리즘 혁신가 3인이 의기투합했다. <혁신저널리즘>이란 책을 최근 펴낸 강정수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박사, 이성규 블로터미디어 기자, 최진순 한국경제신문 기자가 그린 한국 언론계의 혁신 로드맵을 3회에 걸쳐 연재한다.
① 혁신저널리즘, ‘정치논리’ 빼고 ‘시장논리’ 따라야
② 충성독자 20만명이면 한국 들었다 놨다 할 수도
③ 모바일 퍼스트에서 이용자 퍼스트로
팬덤을 만족시키듯 독자관계 관리에 힘써야 한다고 지적하셨는데요. 한국 언론이 충성도 높은 독자와의 관계를 강화하려면 어느 정도 선에서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할까요? 독자 폭을 확 좁혀야 하나요?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Times 더피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