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 ‘장관PI’보다 ‘내실홍보’ 추구해야
국민안전처, ‘장관PI’보다 ‘내실홍보’ 추구해야
  • 문용필 기자 (eugene97@the-pr.co.kr)
  • 승인 2015.05.13 09: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자토크] 독특한 부처 SNS 운영방식, 과유불급?

[더피알=문용필 기자]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국민안전과 국가적 재난관리를 위해 지난해 11월 공식 출범했다.

신생부처이기는 하지만 국민안전처도 여느 정부조직과 마찬가지로 페이스북(www.facebook.com/safeppy)과 트위터(@safeppy)  등의 SNS를 통해 정책홍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국민 누구나 쉽게 숙지할 수 있도록 만화체의 그림을 통해 안전행동요령을 전달하는 등 나름대로 신경을 쓴 흔적도 엿보인다.

그런데 국민안전처의 페이스북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박인용 장관의 개인 페이스북에서 공유된 콘텐츠들이 유난히 많다는 것이다. 지난달 1일부터 지금까지 박 장관 페이스북을 통해 공유된 콘텐츠는 8개에 달한다.

▲ 사진: 국민안전처 페이스북 캡쳐.

해당 콘텐츠에는 대부분 박 장관의 활동사항들이 담겨있다. 업무협약 체결, 행사 참여, 외부인사와의 만남 등의 내용이 그것이다. 박 장관이 모 신문에 기고한 글도 공유돼 있다.

얼핏 보면 장관이 부처 정책 홍보에 힘을 보탠다는 인상을 줄 수도 있지만, 국민안전처의 공식 계정에 곧바로 올려도 될 사항을 굳이 박 장관 개인 페이스북을 거쳐 공유한 점이 의아함을 자아낸다. 일반적으로 부처 페이스북에 올라간 콘텐츠를 장관의 개인계정이 공유하는 패턴을 보이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유는 국민안전처 홍보담당관실 관계자로부터 들을 수 있었다. 이 관계자는 “현장을 방문하셨거나 누구를 만나셨다거나 장관님 위주로 (활동) 하신 것은 장관님 페이스북을 통해 공유하고 알리는 것이 일종의 저희 (SNS홍보) 방법”이라며 “이렇게 하든 저렇게 하든 어차피 국민들에게 알리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특별한 의미는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쉽게 말해 박 장관이 직접 활동하는 내용이 담겨있다면 그 콘텐츠는 박 장관의 개인 페이스북을 통해 공유한다는 이야기다.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 오히려 SNS를 통해 장관의 활동사항을 홍보해주려는 것 아니냐는 의문마저 든다.

이같은 점을 지적하자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PI(President Identity, 최고책임자의 이미지)가 중요하지 않느냐”며 “저희가 신생부처이다보니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장관님도 PI를 해야 하고 기관장 홍보도 상당히 중요하다. 그런 차원에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개인 PI라기보다는 (공유된 콘텐츠의) 내용을 보면 전부다 현장활동”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PI를) 하거나 그런 것은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장관의 PI가 중요하다고 하지만 타 부처의 페이스북에서는 이같은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기자가 행정자치부와 법무부, 국방부, 여성가족부, 교육부, 미래창조과학부 등 6개부처의 공식 페이스북에 접속해 지난달 1일부터 한달여간 게재된 이들 부처의 페이스북 콘텐츠를 살펴보니 장관 개인 페이스북의 콘텐츠를 공유한 사례는 행정자치부가 유일했다. 그나마도 공유 건수가 1회에 불과했다.

수많은 정부부처가 있는 만큼 성급한 일반화 오류가 있어서는 안되겠지만 적어도 국민안전처 페이스북의 콘텐츠 공유방식은 흔치않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을 듯하다. 다만, 타 부처의 좋은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례는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국민안전처도 예외는 아니었다.

장관의 개인 동정은 그렇다 치더라도 지난 4일 게재된 ‘안전신문고’ 어플리케이션 홍보 영상은 더욱 이해하기 어렵다. 박 장관이 개인적으로 제작한 영상은 아닌 것 같은데 굳이 박 장관 개인 페이스북을 통해 공유됐기 때문이다. 박 장관이 직접 출연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국민안전처 관계자의 설명이다.

▲ 같은날(5월 4일) 국민안전처의 페이스북(위)과 트위터(아래)에 게재된 ‘안전신문고’ 어플리케이션 홍보 영상./사진:국민안전처 페이스북, 트위터 캡쳐

국민안전처 트위터에도 똑같은 영상이 게재됐는데 박 장관 개인 트위터에 올라온 콘텐츠를 리트윗(RT, 공유 의미)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국민안전처 관계자에게 물어보니 박 장관은 트위터를 하지 않는다고 한다. 장관의 개인계정 존재 유무에 따라 콘텐츠를 올리는 방식이 달라졌다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는 대목이다.

물론, 관계자의 말마따나 신생부처라는 한계점으로 인해 여러 채널을 통해 정책홍보에 나서야 하는 점을 아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기업과 관공서를 막론하고 홍보가 중요한 시대에 장관 개인에 대한 PI도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 국민이 공감할만한 정책을 보여주고 열심히 일한다는 인상을 심어줘야 하는 정부조직의 특성을 감안하면 일견 수긍도 간다.

하지만 국민안전처의 태생 근거가 지난해 4월 발생한 세월호 참사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좀 더 지혜로운 SNS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해 보인다. ‘세월호의 상처’는 지금도 아물지 않았고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재난의 불씨들은 아직도 우리 주변에 상존하고 있다. 신생부처인 국민안전처가 더욱 열심히 정책수립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이같은 상황에서 국민들의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할 국민안전처의 ‘장관PI’ 챙기기가 별로 공감을 얻지 못할 것으로 보이는 건 기자만의 생각일까.

국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안전요령’과 적절한 정책을 효과적으로 전파하는 것이 현 시점의 국민안전처에게는 더욱 필요해 보인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는 고사성어가 왜 존재하는지를 국민안전처가 깨달았으면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