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공포’ 확산, 커져가는 의심과 논란
‘메르스 공포’ 확산, 커져가는 의심과 논란
  • 박형재 기자 (news34567@the-pr.co.kr)
  • 승인 2015.06.02 18: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격리관찰자 1000명 초과 전망…SNS 통해 루머 난무

[더피알=박형재 기자] 메르스로 인한 사망자가 나오고 3차 감염자까지 발생함에 따라 보건당국의 격리 관찰 대상자가 최대 1000명을 초과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당국이 과연 메르스를 통제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커지는 가운데 메르스 발생 병원 이름 공개를 두고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1일 오전 격리 대상자는 682명이었다. 확진 환자 18명과 밀접 접촉한 사람이 총 715명이고, 이중 33명이 격리에서 해제돼 682명이 남았다는 설명이다.

▲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2일 오후 메르스 관계부처 장관회의 결과 및 향후 대책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

보건당국이 격리 대상자를 지난달 30일 129명에서 이틀 만에 5배 이상 증가시킨 것은 첫 확진환자가 사흘 동안 입원한 병원을 중심으로 역학조사를 전면 재실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확진 환자가 18명에서 25명으로 늘면서 기존 격리 조치로는 감염 차단에 역부족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B병원뿐 아니라 D병원에 대한 역학조사도 다시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첫 3차 감염자인 Y(73)씨와 Z(78)씨가 D병원에서 16번째 확진 환자 P(40)씨와 같은 병실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들과 밀접 접촉한 사람을 새로 파악해야 하는 과제가 던져졌다.

보건당국은 이날 확인된 3차 감염이 의료기관 내 감염일 뿐 지역사회로 전파된 사례는 아니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지만, 앞으로의 지역사회 전파 위험성은 염두에 둬야 하는 상황이다.

만일 격리 대상자가 1000명을 초과하면 보건당국이 이들을 모두 통제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일부 격리 대상자가 당국의 권고를 무시하고 이탈하면 상당한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이같은 혼란을 막기 위한 시설 격리도 지지부진하다. 보건당국은 자가 격리에 대한 국민 불안을 고려해 지난달 31일부터 시설 격리를 도입했다. 전체 격리대상자중에서 약 35%를 시설 격리 대상으로 판단하고 이들을 설득했으나 이에 응한 사람은 4명에 그쳤다.

▲ 2일 오후 대전의 한 대학병원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쓰고 자리에 앉아 있다. ⓒ뉴시스
메르스 공포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이 병의 발생 지역과 환자가 머문 병원 이름의 공개 여부를 두고도 논란이 일고 있다.

보건당국은 지난달 20일 첫 메르스 환자 확인 이후 발병 지역과 관련 병원 비공개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지역과 병원을 밝히면 주민들 사이에서 공포를 키울 수 있고, 해당 병원에 환자들이 진료를 꺼리는 등 혼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메르스 환자를 당국에 신고해야 할 병원들이 경영상 피해 때문에 환자 입원·내원 사실을 숨겨 방역망에 구멍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비공개의 이유로 꼽힌다.

그러나 반론도 상당하다. 메르스 환자 25명에 3차 감염자까지 나오는 등 확산에 속도가 붙은 만큼, 지역과 병원을 공개해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확산 방지 및 감염 예방 대책을 세우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카카오톡 등 SNS를 통해 불확실한 ‘메르스 발병 지역 및 병원 명단’이 유포되는 만큼 투명한 정보 공개가 국민 불안 해소에 더 도움이 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새정치민주연합은 1일 성명에서 지역과 병원명을 공개하고 메르스로 피해를 본 의료기관에는 국가 보상을 해주는 정책을 제안하기도 했다.

한편 한국인 6명을 포함해 19명의 메르스 감염 의심자를 격리한 홍콩은 우리 정부에 한국 발병 병원 명단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당국이 우리 측에서 병원 명단을 받아 공표한다면, 이 정보가 한국으로 재유입돼 비공개 원칙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