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지 않아도 괜찮아
똑같지 않아도 괜찮아
  • 안선혜 기자 (anneq@the-pr.co.kr)
  • 승인 2016.03.21 09: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견 탈피! 사회적 메시지 소비자를 움직이다
▲ 메이키즈가 토이라이크미 캠페인에 화답해 제작한 3종 인형.

[더피알=안선혜 기자] 완벽한 몸매의 절대적 상징이었던 바비가 통통해지고, 휠체어 탄 레고 인형이 등장했다. 유명 패션위크 런웨이에서는 빅 사이즈 모델과 다운증후군 소녀가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자신들의 아이와 똑같은 장난감을 만들어달라는 부모들의 청원은 온라인 여론을 움직이고 기업을 바뀌게 했다. 휠체어 탄 인형을 출시하며 레고 측이 무심히 내뱉은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를 반영한 것”이란 말은 이제 다양성의 시대를 방증하고 있다.

영국 소형 장난감 업체 메이키즈(Makies)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만든 멜리사는 얼굴에 커다란 분홍 반점이 있는 인형이다. 흑인 인형인 헤티는 양쪽 귀에 인공 와우(청각장애인이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전자장치)를 착용하고 있고, 에바는 안경을 쓰고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케인)를 짚고 있다. 백색 피부에 오밀조밀한 이목구비를 자랑하는 여느 인형들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다.

이 인형들은 장애가 있는 자녀를 둔 영국 여성 3명이 의기투합해 시작한 ‘토이라이크미(#ToyLikeMe·나같은 장난감)’ 캠페인에 화답해 내놓은 제품으로, 메이키즈는 지난해 이 3종 인형 출시 후 연이어 배에 인슐린 펌프를 단 인형을 추가로 선보이기도 했다.

획일화된 꾸밈이 아닌 자신과 같은 모습을 통해 자녀들이 장애를 자연스럽게 느끼도록 하고 싶었던 부모들의 바람이 독특하고 개성 있는 인형으로 발현된 것이다.

토이라이크미는 단 3명이 시작한 캠페인이지만, SNS를 통해 널리 확산되면서 참여자가 급격히 늘었다. 이들은 레고와 플레이모빌, 마텔 같은 대형 완구업체들에도 캠페인에 동참을 요구하면서 자신들의 페이스북을 통해 장애 인형들의 모습을 꾸준히 올리고 있다. 안내견과 함께 이동하는 알라딘이나 휠체어를 탄 농구선수, 외발 스파이더맨 등이다.

사람들에게 친숙한 캐릭터들을 등장시켜 장애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낮춘 것이 특징적이다. 웹사이트 구축을 위해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하기도 했는데, 28일 동안 700명 이상의 지지자들로부터 1만6000파운드 이상을 모으는 등 많은 지지를 입증했다.

완구 회사들의 이유 있는 변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