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고학력·고소득 일수록 댓글↑
남성·고학력·고소득 일수록 댓글↑
  • 문용필 기자 (eugene97@the-pr.co.kr)
  • 승인 2016.11.03 18: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NS에선 여성 참여 활발…댓글 열독율 언론사 홈페이지 가장 낮아

[더피알=문용필 기자] 온라인 댓글은 누리꾼들의 보편적인 소통수단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특정 이슈에 대한 여론의 향배를 알 수 있고 보다 활발한 인터넷 토론 문화를 만든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악의적인 댓글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거나 여론조작에 악용되는 경우도 쉽게 볼 수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미디어이슈’를 통해 우리나라 댓글문화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설문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해당 설문은 지난 1년간 온라인 댓글을 작성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890명을 상대로 지난달 24일부터 3일간 실시됐다.

▲ 자료: 한국언론재단 '미디어이슈'

조사결과에 따르면 포털 뉴스에서 ‘한달에 평균 1회 이상 댓글을 작성했다’는 응답자의 성별은 남성 58.3%, 여성 39.4%였다. 6:4의 정도의 비율을 보이고 있는 셈.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도 남성이 40.4%로 여성(30.6%)보다 10% 가량 높았다.

하지만 SNS 댓글의 경우에는 여성 비율(69.2%)이 남성(67.2%)보다 오히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김선호 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은 <더피알>과의 통화에서 “SNS는 다른 플랫폼에 비해 여성사용자 비중이 높다”며 “익명성이 강조되는 포털 등과 비교해 커뮤니케이션 경험이 있거나 유사한 성향의 사용자들이 많다는 점에서 여성들이 상대적으로 편안하게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다만, 김 연구위원은 “꼭 SNS가 아니라도 패션 등의 게시물은 여성들의 댓글 참여도가 높은 편”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네이버 모바일 뉴스 댓글의 성별을 살펴본 결과, 정치 분야에서는 남성의 비중이 87.2%로 여성(12.8%)에 비해 월등히 높았지만 생활 분야의 경우에는 남성 74.4%, 여성 25.6%로 격차가 다소 줄어들었다.

▲ 자료: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이슈'

학력과 소득에 따라서도 댓글 참여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포털 뉴스의 경우, 대학원 이상의 학력자는 51.8%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대학교 재학 이상 학력자는 49.7%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고졸 이하의 응답자는 43.9%였다.

언론사 홈페이지 댓글에서는 차이가 더욱 벌어졌다. 대학원 이상 집단은 38.6%인데 비해 대학교 재학 이상 집단은 28.2%, 고졸 이하 집단은 18.7%였다. 고학력일수록 댓글참여가 활발한 것이다.  

가구소득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소득 수준이 500만원 이상인 응답자 집단은 포털뉴스, 인터넷 커뮤니티, 언론사 홈페이지, SNS 모두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댓글 참여 비중이 높았다. 특히 700만원 이상 고소득 집단은 300~500만원 소득 집단에 비해 댓글 참여도가 10~20%p 이상 높았다.

이와 관련, 김 연구위원은 “댓글 작성에도 어느 정도의 지식과 정보가 필요하다. 글을 쓰는 스킬도 있어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집단이 댓글을 좀 더 쉽게 쓸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봤다. 아울러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지만 모바일보다 PC가 글쓰기에는 더욱 쉽다. 때문에 PC 사용이 많은 화이트칼라들이 더 많은 댓글을 달게 된다”고 덧붙였다.

▲ 자료: 한국언론재단 '미디어이슈'

댓글 열독률을 보면 언론사 홈페이지의 비중(21.4%)이 SNS(30.3%)와 포털 뉴스(31.9%), 인터넷 커뮤니티(30.2%)에 비해 10%p 가량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게시물만 보고 댓글은 읽지 않는다’는 응답에서는 언론사 홈페이지가 32.4%로 포털뉴스(17.6%)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포털 중심의 뉴스 소비성향이 댓글에서도 예외가 아님을 입증한 셈이다. 댓글의 흥미성 측면에서도 언론사 홈페이지(43.1%)는 포털뉴스(74%)에 비해 30%p 이상 낮았다.

▲ 자료: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이슈'

이와 별개로 언론사 홈페이지의 댓글을 해당 매체의 콘텐츠의 일부로 봐야한다는 견해(69.6%)는 압도적이었다. ‘언론사는 댓글에 대해 책임이 있다’고 밝힌 응답자도 65.2%로 반대의견(34.8%)에 비해 훨씬 높았다.

언론사의 댓글 운영 원칙에 대해서는 ‘비속어나 욕설 댓글을 차단해야 한다’는 의견이 38.1%, ‘전혀 관여하지 않아야 한다’는 의견이 33.3%로 팽팽히 맞섰다. ‘좋은 댓글을 선별 배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15.8%로 뒤를 이었으며 댓글난을 배치해야 한다는 응답은 12.8%였다.

▲ 자료: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이슈'

비난 및 비방성 댓글이 높은 플랫폼으로는 포털뉴스(86.6%)가 꼽혔다. 언론사 홈페이지(73.9%)와 인터넷 커뮤니티(71.4%)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SNS는 64.3%로 가장 낮았다. 이에 대해 언론재단 측은 “SNS에서는 댓글 작성자의 정체성이 노출되기 때문에 비방댓글을 작성하는 경우가 덜한 경향이 있다”고 풀이했다.

한편, 댓글 작성자의 실명공개 여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1.4%가 찬성의견을 나타내 반대의견(28.9%)을 압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