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신호’ 켜진 경제성장률, 체감은 ‘아직’
‘청신호’ 켜진 경제성장률, 체감은 ‘아직’
  • 이윤주 기자 (skyavenue@the-pr.co.kr)
  • 승인 2017.10.27 07: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디어리뷰] 3분기 1.4% ↑…서울신문 “싸늘한 체감 지표, 낙관은 금물”
주요 이슈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평, ‘미디어리뷰’를 통해 한 눈에 살펴봅니다.

오늘의 이슈 3분기 경제성장률

[더피알=이윤주 기자] 3분기 한국 경제가 1.4% 성장하며 7년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올해 3% 성장’을 목표로 둔 문재인표 경제 정책에 청신호가 켜졌다.

3분기 성장은 수출과 재정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화학제품,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한 수출이 6년여 만에 최고 성적을 냈고, 문 정부 들어 편성된 추경예산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 경기는 나아지지 않았다는 평가다. 민간 소비 성장률은 0.7%로 전 분기보다 떨어졌다. 수출 주도 성장세가 내수로 옮겨 가는 조짐이 확실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언론들은 아직 우리 경제의 회복탄력성을 자신하기는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세계일보는 “깜짝 성장은 일부 업종의 수출 호황과 추경에 기댄 것”이라며 “성장의 군불이 경제 전반에 지펴졌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26일 서울 한국은행에서 정규일 경제통계국장이 2017년 3/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기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뉴시스

△중앙일보: 3분기 깜짝 성장, 경제체질 개선할 마지막 기회다

중앙일보는 “경제성장률 수치에 너무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지만 우리 경제는 어느 정도 성장률이 유지돼야 일자리가 늘고 민생도 나아지는 구조”라며 “자전거를 타는 것처럼 쓰러지지 않기 위해서는 페달을 힘껏 밟아 일정 속도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라고 비유했다.

이어 “복지를 위해서도 재정이 튼튼해야 한다. 재정 여건도 성장률에 많이 좌우된다. 경제가 성장해야 세금이 걷히고 나라 곳간도 채워진다”며 “저성장이 고착화되기 전에 경제체질을 개선할 마지막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신문: 7년 만에 ‘깜짝 성장’했지만 싸늘한 체감 지표

서울신문은 “슈퍼 호황을 누리고 있는 반도체 말고도 화학, 석유, 기계 등의 수출이 고르게 늘었고, 특히 상반기 부진했던 자동차 수출이 회복돼 천만다행”이라며 “정부가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집행한 추경도 한몫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고용과 민간 소비는 나아지지 않아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 경기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며 “연 3% 성장이 가능해짐에 따라 소득주도 성장과 혁신성장 등 ‘문재인표’ 경제정책이 탄력을 받을 수 있는 여건은 마련돼 가고 있지만 낙관은 금물”이라고 당부했다.

△세계일보: 3분기 1.4% ‘깜짝 성장’ 의미 제대로 읽고 있나

세계일보는 “우리 경제는 저성장을 벗어나 본격 회복기에 접어든 걸까. 그렇다고 단정하기 힘들다”며 “성장 내용을 보면 곳곳에 불안 요인이 가득하다. 깜짝 성장 이면에는 수출 호황이 자리한다”고 밝혔다.

이어 “유례를 찾기 힘든 세계적인 반도체 슈퍼 호황에다 석유화학·기계 수출까지 살아나면서 3분기 수출은 전분기 대비 6.1%나 늘었다. 3분기 성장률의 64%가 반도체·석유화학 등 일부 업종의 수출에 의존한 셈”이라며 “깜짝 성장은 일부 업종의 수출 호황과 추경에 기댄 것이다. 성장의 군불이 경제 전반에 지펴졌다고 보기 어렵다”고 해석했다.

△경향신문: 경제성장 3%로 더욱 부각되는 대기업 중심 성장의 한계

경향신문은 “1등 공신은 수출이다. ‘슈퍼 호황’을 맞고 있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6.1% 늘어 2011년 1분기 이후 6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성장을 견인했다”면서도 “이는 한국 경제의 구조적인 문제를 다시 한 번 보여준 단적인 사례”라고 말했다.

반면 “3분기에 민간소비가 0.7%에 그치면서 다시 0%대로 떨어졌다. 또한 고용유발 계수가 낮은 반도체 등 일부 산업중심의 성장은 월간 고용 증가폭이 30만 명을 턱걸이하는 수준에 그치게 했다. 특히 청년실업을 심화시켰다”며 “이 모두 일부 대기업·수출기업 위주의 성장이 낳은 결과”라고 해석했다. “낙수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대기업중심 성장’의 한계를 우리는 이번 기회에 똑똑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도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