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도입, 취지는 좋은데…
고교학점제 도입, 취지는 좋은데…
  • 이윤주 기자 (skyavenue@the-pr.co.kr)
  • 승인 2017.11.28 09: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디어리뷰] 2022년부터 전면 실시 계획…한겨레 “‘현 정부 임기 내 완성’ 조급증 버리길”
주요 이슈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평, ‘미디어리뷰’를 통해 한 눈에 살펴봅니다.

오늘의 이슈 고교학점제

[더피알=이윤주 기자] 교육부가 2022년 고교학점제 도입 계획을 27일 발표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고교학점제는 고교생이 적성과 기호, 진로 등을 고려해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게 하는 제도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아 학교 현장에 적용되기까지 작지 않은 진통이 예상 된다.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 고등학생도 대학생처럼 원하는 수업을 골라 듣고 정해진 학점을 채우면 졸업할 수 있게 된다. 가장 큰 장점은 문‧이과 관계없이 관심 있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어 진로희망에 맞춘 학습이 가능해진다는 점이다. 수업시간에 엎드려 자는 등 딴 짓 하는 일이 줄어들고 몰입도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우선 고교 내신 성취평가제 실시와 수능 절대평가제 전환이 뒷받침돼야 한다. 또 교사의 업무 과중과 부족한 인프라, 대입에 유리한 과목 쏠림 현상 등이 먼저 해결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7일 고교학점제 선택형 교육과정 우수학교인 서울 강서구 한서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참여형 수업을 받고 있다. 뉴시스

△경향신문: 교육체계 뒤흔들 고교학점제, 혼란 피할 철저한 준비를

경향신문은 “고교학점제가 현재 초등학교 5학년이 고교생이 되는 2022년부터 전면 도입된다”며 “고교 필수과목을 최소화하고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직접 선택해 학점을 이수하는 고교학점제는 문재인 대통령의 교육공약 1호다. 학생의 흥미나 적성에 따라 문·이과 구분 없이 수업을 듣게 해 진로 선택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맞춤형 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고교학점제는 긍정적인 취지 못지않게 단점도 있는 교육개혁안”이라며 “고교학점제를 제대로 추진하려면 무엇보다 학생들이 국어·수학 등 주요 과목만을 집중선택하는 쏠림 현상을 막아야 한다. 또 내신 성취평가제도 도입되어야 한다. 그래야 사교육 유발 요인을 없애고, 과도한 점수 따기 경쟁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일보: 교육체계 뒤흔들 고교학점제, 혼란 피할 철저한 준비를

한국일보는 고교학점제에 대해 “무엇보다도 적성이나 흥미와 상관없이 획일적으로 공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교육의 다양성을 이룰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이 경우 문과와 이과의 경계를 넘는 공부가 가능해 융합 능력 및 창의력을 지금보다 더 잘 키울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며 “세계 선진국 중 상당수가 비슷한 제도를 이미 운영하고 있다는 점까지 생각하면 고교학점제의 필요성 자체를 부정하기는 어렵다”고 봤다.

이어 “문제는 고교학점제가 내신평가, 대학입시, 특목고 및 자사고의 존폐 등과 맞물려 교육체계를 뒤흔들 수 있는 복잡한 문제라는 사실이다. 한국의 고교 교육이 대학입시에 절대적으로 좌우되는 현실에 비추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입시와의 연관성을 높이는 일이 중요하다”며 “고교학점제에 대해 대학에 충분한 설명을 하고 공감을 얻어내려는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한국은 “전교조와 한국교총은 고교학점제에 비판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두 단체는 개설 과목 증가에 따른 교사 증원과 시설 확대 여부에 대한 우려와 함께 도시와 농촌의 격차에 따른 문제 등을 지적하고 있는데, 새겨들을 만한 게 많다”며 “정부는 고교학점제가 고교 교육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만큼 여러 의견을 경청해 세심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겨레: ‘고교 교육’ 뒤바꿀 학점제, 조급증을 버려라

한겨레는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고, 학교 안에서 교육을 다양화한다는 기본 취지는 긍정적이지만 교육은 온갖 제도와 이해관계가 뒤얽힌 우리 사회의 대표적 난제다. 어느 한 제도가 줄세우기와 주입식 교육을 한꺼번에 바꿀 ‘마법’일 순 없다”고 봤다.

이어 “새 교육제도를 도입하는 결정은 국가교육회의에서 중등교육과정 전반을 검토하는 작업과 연계하고 사회적 합의를 거쳐 이뤄지는 게 바람직하다”며 “무엇보다 이전 정부들처럼 ‘현 정부 임기 내 완성’ 같은 조급증을 갖지 않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교육부 스스로 ‘단계적 준비와 공론화를 거쳐 제도를 확산하겠다’고 한 만큼, 속도에 연연하지 말고 시범운영의 성과와 한계를 충분히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