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흥도 낚시배 침몰…해양사고 왜 자꾸 발생하나
영흥도 낚시배 침몰…해양사고 왜 자꾸 발생하나
  • 이윤주 기자 (skyavenue@the-pr.co.kr)
  • 승인 2017.12.04 09: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디어리뷰] 낚시 인구 700만 시대…한국일보 “안전 의식 문제 따지지 않을 수 없어”
주요 이슈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평, ‘미디어리뷰’를 통해 한 눈에 살펴봅니다.

오늘의 이슈 낚시배 전복 사고

[더피알=이윤주 기자] 인천 영흥도 주변에서 바다낚시 여행객 20여명을 실은 낚싯배가 전복되는 해상 사고가 발생했다. 13명이 숨지고 2명이 실종됐다.

낚싯배는 3일 오전 6시 출항한 지 9분 만에 전복됐다. 사고가 나자 배에 있던 승객이 112에 신고했고, 이를 전달받은 해경이 33분 후 도착했다. 구조 활동에도 불구하고 물살이 거센 데다 겨울철 낮은 수온으로 희생자가 많았다.

최근 레저 수요가 늘면서 낚시 인구는 700만 시대를 맞았다. 하지만 그에 걸맞는 안전시스템은 갖춰지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낚시배 해양사고는 어선 업체의 안전 불감증과 낚시꾼들의 무리한 운항 요구 등으로 2013년 77건, 2014년 86건, 2015년 206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이에 대해 한국일보는 “해양 사고의 전체적인 원인을 분석해 보면 철저한 안전 대책으로 사고를 피하거나 피해가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세월호 참사에서) 304명의 귀중한 생명을 잃고도 여전히 해상 안전의 중요성을 가슴에 새기지 못한 건 아닌지 되돌아볼 일”이라고 강조했다.

3일 인천시해상에서 낚싯배가 급유선과 충돌해 침몰한 가운데 해경과 관계자들이 선창1호를 조사하고 있다. 뉴시스

△한국일보: 이용 인구 늘고 있는 낚싯배 안전사고 대책 강화하라

한국일보는 이번 사고에 대해 “새 정부 들어 발생한 안전사고 중 피해 규모가 가장 크다. 낚싯배가 출항 후 9분 만에 급유선과 충돌하자 바로 승선자가 신고했다. 해경 구조보트가 30여분 만에 현장에 도착했고 해경·해군 함정 10여 척과 항공기까지 수색에 나서는 등 대응에 큰 허점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하지만 “물살이 거센 데다 수온이 낮아 인명 피해를 줄이지 못했다”며 “일출 전 시계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좁은 항로를 운항하며 주의에 소홀했다면 이 역시 안전 의식 문제를 따지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경향신문: 낚싯배 대형사고, 안전불감증 없었나

경향신문은 “사고 접수 33분 만에 해경 헬기와 경비정 등이 속속 현지에 도착해 구조에 나섰지만 현지 해역의 물살이 강하고 겨울철 수온이 차가웠던 것이 인명피해를 키운 것으로 보인다”며 “선창 1호는 정원 규정을 초과하지 않았고, 출항신고 절차도 정상적으로 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배가 출항한 지 몇분 안돼 사고가 났고 곧바로 신고했는데도 해경이 33분 만에 사고 현장에 도착한 점을 보면 대응이 신속했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정원 초과도 아니고 구명조끼도 입었는데 왜 사망·실종자가 많았는지도 이해하기 어렵다”며 “정부는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선창 1호 전복 사고의 실종자 수색을 비롯한 사고 수습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일보: 700만 낚시 열풍 속 해상 참사…세월호 벌써 잊었나

중앙일보는 “사고 원인 규명 못지않게 신속한 구조시스템의 작동 여부도 따져봐야 할 대목이다. 해경 구조 보트는 사고 접수 33분 만에 현장에 도착했다”며 “출동 지시에 4분, 준비에 13분, 이동에 16분을 사용했다. 상부에 보고하고 지시를 받느라 구조의 골든타임을 놓친 게 아닌지 궁금하다”고 꼬집었다.

또 “현장 중심 시스템이 아쉬운 대목이다. 구조 헬기가 사고 1시간15분 만에 도착한 것도 의문이다. 기상 여건 탓이라지만 취약시간대 근무 기강 문제는 아닌지 철저히 조사해야 할 것이다”고 당부했다.

△조선일보: 이번엔 낚싯배·급유선 충돌, 세월호 이후 뭐가 달라졌나

조선일보는 “레저 수요가 늘면서 낚시 인구가 700만명에 이른다. 이 중 절반 정도가 배를 타고 바다낚시를 한다. 낚싯배는 전국적으로 4500선, 연간 이용객은 343만명이다. 선박 면허 시험장에 사람들이 몰리고 낚시용품 매출은 증가세”라면서도 “하지만 낚싯배 사고는 3년간 2.7배 늘어 2016년엔 208건에 달했다. 구명조끼 미착용 등 불법행위는 7.6배나 늘었다”고 문제점을 짚었다.

이어 “어제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이 언제 어떤 보고를 받고, 어떤 조치를 했는지를 상세히 알렸다. 15명이 사망·실종된 사고는 큰일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사고 때마다 대통령이 나설 수는 없는 일”이라며 “모든 일을 대통령에게 연결시켜 책임 지우고 비난하려는 것부터 바뀌어야 한다. 대통령이 할 일은 사고가 날 때 관심을 보이는 것에 앞서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시스템을 손보고 관행을 바꾸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