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미디어’ 선점 나서는 신문사들
‘블록체인 미디어’ 선점 나서는 신문사들
  • 서영길 기자 (newsworth@the-pr.co.kr)
  • 승인 2018.02.08 09: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합작법인 설립 또는 내부 TF팀 꾸리며 본격화…언론계 한쪽에선 “디지털 따라가기도 힘들어”

[더피알=서영길 기자] 최근 주요 신문사들이 블록체인에 특화한 전문매체 만들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콘텐츠로 블록체인이란 뜨는 시장에 눈을 돌림으로 전문성을 높이고 미디어사업의 신먹거리 창출을 꾀하려는 시도다. 한편에선 ‘디지털 퍼스트’ 기조가 자리 잡히기도 전에 블록체인이란 복병을 만나며 저울질만 하는 언론계 흐름도 엿보인다.

암호(가상)화폐 기반 기술로써 가까운 미래에 인터넷을 대체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는 블록체인(blockchain ·분산형 거래시스템). 이를 모르면 향후 언론 시장에서 도태될지 모른다는 위기의식 속에 가장 먼저 본격적으로 판을 벌인 건 <서울경제>다.

서경은 소위 메이저 신문으로는 처음으로 <디센터>라는 블록체인 전문 미디어를 지난달 10일 선보였다. 앞서 지난해 9월부터 창간 작업에 돌입해 12월엔 블록체인 전문기업인 체인파트너스와 5대 5 합작으로 조인트 법인 설립까지 마쳤다.

디센터 우승호 이사는 “(블록체인) 전문가 집단과 손잡아 전문성을 한층 강화하려는 것”이라고 합작 배경을 밝히며 “하지만 교육 쪽을 맡은 체인파트너스는 기술적인 자문 외에 편집엔 일절 관여하지 않는다. 우리의 주 업무 영역은 미디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디센터는 서경에서 파견식으로 합류한 기자 4명과 자체 선발한 인턴기자 3명, 체인파트너스에서 지원한 전문가 3명 등 총 12명의 인원이 블록체인과 관련한 콘텐츠를 내놓고 있다.

현재 디센터는 서경 홈페이지 내 한 코너와 자체 홈페이지를 병행해 운영 중이다. 전자는 포털 사이트에 기사가 노출되기 위함이고, 후자는 현재 리뉴얼 과정 중에 있는 ‘임시’ 페이지 개념이다. 디센터는 향후 자사 홈페이지로 무게 중심을 옮길 예정이다.

우 이사는 “디센터의 창간 목적은 블록체인 생태계를 육성하겠다는 거다. 다른 언론들도 함께 뛰어들어 판을 키웠으면 좋겠다”며 “이 생태계는 혼자 만들 수 없기에 타 언론사가 경쟁사라기보다 다 같이 파이를 키우는 파트너라고 본다”고 전했다.

<머니투데이>는 블록체인 전문지 창간을 염두에 두고 현재 태스크포스(TF)팀을 운영 중이다.

지난 1월 회사의 정식 발령을 받아 ‘블록체인 TF팀’이 꾸려졌고, 데스크 포함 5명의 기자들이 활동한다. 지금은 머니투데이 홈페이지 안에서 산업 관련 기사로 게재되고 있지만, 조만간 따로 코너가 만들어질 예정이다.

이에 대해 TF팀에 속한 송학주 기자는 “시스템 개발팀에서 머투 홈페이지 내 저희 코너를 만들고 있는 중이다. 아마 한 달 정도 후면 이곳에 블록체인 관련 기사들이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송 기자는 “블록체인과 관련해 단순 휘발성 기사보다는 심화된 기사를 쓰려 한다”라며 “향후 팀이 어떻게 발전할지 모르지만 우선 양질의 콘텐츠를 계속 생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다.

<한겨레>도 지난해 9월부터 새로운 독자층을 끌어들이겠단 목표 아래 블록체인 전문매체 창간에 공을 들이고 있다.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나오지 않았지만 이달 말쯤 한겨레에서 만든 블록체인 전문지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아직까지 다수 언론은 신중한 입장이다. 디지털이나 온라인 생태계 적응도 마치지 못한 상황에서 블록체인은 ‘지나치게’ 낯선 분야라 언감생심 뛰어들지 못하는 모양새다.

한 대형 신문사 고위 관계자는 “대응이 어려운 분야다 보니 조바심은 나지만 강연을 듣거나 따로 공부하며 따라잡기 하고 있는 수준이다”며 “디지털로의 전환도 어려운 실정에 따로 (블록체인) 매체 창간이라든지 TF팀 등을 꾸릴 상황은 아니다”고 전했다.

특히 별도의 전문조직을 세팅하려면 자원이나 인력이 투입돼야 하는데, 뚜렷한 목적성 없이 회사 차원에서 투자하기는 어렵다는 현실적 상황도 고려 요인이다.

이와 관련, 다른 언론사 중견기자는 “요즘 개인적으로 주변 기자들을 만나보면 창간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이들이 많고, 편집국에서도 관심이 많은 것도 사실”이라면서도 “회사 차원으로 가면 얘기가 달라진다”고 말했다. 그는 “사내 사업부의 검토나 투자심의위 같은 곳의 절차를 통과해야 (창간이) 가능한데 그렇게 되기가 쉽지 않다”고 언급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