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가속이 미치는 영향
미국 금리인상 가속이 미치는 영향
  • 이윤주 기자 (skyavenue@the-pr.co.kr)
  • 승인 2018.06.15 08: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디어리뷰] 한미 간 금리 격차 0.5%로 확대…매경 “저성장과 고금리라는 최악의 조합 피해야”
주요 이슈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평, ‘미디어리뷰’를 통해 한 눈에 살펴봅니다.
Today: 美 금리 인상

 

14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결정 등의 영향으로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02(0.23%) 내린 873.02에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1077.2)보다 6.8원 오른 1084.0원으로 출발했다. 뉴시스
14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결정 등의 영향으로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02(0.23%) 내린 873.02에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1077.2)보다 6.8원 오른 1084.0원으로 출발했다. 뉴시스

[더피알=이윤주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3월에 이어 기준금리를 0.25%p 올렸다. 이로써 한미 간 금리 격차는 2007년 이래 가장 큰 폭인 0.5%로 확대됐다. 

연준은 또 하반기 두 차례 추가 금리인상을 시사해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우리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중앙일보: 글로벌 금리 인상 시대…안전벨트 단단히 매야

중앙일보는 “미국이 기준금리를 또다시 올렸다. 하반기에도 두 차례 금리 인상이 더 있을 것으로 예고됐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은 경제가 탄탄하게 받쳐주기 때문”이라며 “금리 인상이 미국엔 ‘통화정책의 정상화’지만 경제 펀더멘털이 취약한 신흥국엔 ‘긴축 발작’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중앙은 “한국은 아직 자본 유출을 걱정할 단계는 아니지만 국이 금리를 계속 올리면 외국인 자금의 유출을 막기 위해 우리도 언젠가는 기준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며 “경기가 침체 국면 초입에 들어섰다는 진단이 나오고, 1400조원이 넘는 가계부채에 짓눌려 있는 상황에서 금리를 올려야 하는 한국은행의 고민이 커질 수밖에 없다. 금리 인상 파고에 흔들리지 않도록 안전띠를 단단하게 조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서울신문: 우려스러운 미국의 가파른 금리 인상

서울신문은 “전문가들은 한국이 신흥국들과 달리 외환보유액 규모나 경상수지 흑자 등 기초체력이 양호해 아직은 직접적인 타격을 입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하지만 금리 인상이 가팔라지면 통화가치가 급락하고 자본유출로 이어지는 ‘긴축발작’이 재연될 수도 있다. 이러면 글로벌 시장에 위험 회피 심리가 커지면서 우리 금융시장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서울은 “걱정은 3~4년 사이에 급증한 가계부채 관리다. 자영업자들의 대출액은 지난달 300조원을 넘었다. 정부가 주택담보대출을 조이자 신용대출과 고금리 비은행권 대출로 이동한 ‘풍선효과’도 나타나고 있다”고 우려하며 “금융 당국은 신흥국들의 금융불안을 면밀히 살피면서 가계대출 관리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매일경제: 더 벌어진 한·미 금리差, 충격 줄이는 길은 성장뿐이다

매일경제는 “한미 기준금리 차가 벌어질수록 한은의 고민도 깊어질 수밖에 없다”며 “물론 국내 사정만 생각한다면 섣불리 금리를 올려서는 안된다. 하지만 한은이 글로벌 자본 흐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준과 마냥 엇나갈 수도 없다. 당장은 문제가 없다지만 자본 유출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매경은 “이런 상황에서는 우선 금리 상승 충격을 최소화할 방도부터 찾아야 한다”며 “순처분가능소득의 1.8배나 되는 가계빚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특히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을 150만명의 취약차주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채무 조정에 나서야 한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는 기업이 28%에 이르는 만큼 한계기업 구조조정도 서둘러야 한다”고 모색했다.

이어 “무엇보다 중요한 건 성장의 활력을 높이는 일”이라며 “한은도 결국 연준과 어느 정도 보조를 맞춰야 한다면 어떻게든 성장률을 끌어올려 금리 인상 여력을 확보하는 수밖에 없다. 무슨 수를 쓰더라도 저성장과 고금리라는 최악의 조합은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