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선 ‘힐링’ ‘위로’ 간접화법…쟁점 정치적 잣대로 재단하는 풍토 한몫

비키니를 입은 댄서가 춤을 추는 뮤직비디오를 무표정하게 바라보고 여성을 희롱하는 내용이 담긴 코미디에 폭소를 터뜨린다. 땅바닥을 뒹굴며 싸우는 아이들을 보면서 말리기는커녕 “남자애들은 역시 남자애들이지”라며 수수방관할 뿐이다.
[더피알=문용필 기자] 지난 1월 미국에서 등장한 한 광고에 삽입된 장면들이다. 마초 근성에 젖어있고 젠더 감수성에 둔감한 남성들의 작태를 꼬집은 것이다.
해당 광고는 이후 “Men need to hold other men accountable(남성들은 다른 남성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위 상황과 반대되는 사례들을 보여준다. 여성을 ’길거리 헌팅’하려는 다른 남성을 말리고 집단 구타를 당하는 청소년을 구하는 모습 등이다.
뭇 남성들에 대한 비판 메시지가 짙게 깔린 이 광고를 제작한 기업은 다름 아닌 질레트다. 수십 년간 남성 면도기를 판매하면서 글로벌 브랜드 반열에 올랐고, 업의 특성상 남성성을 강조한 광고를 선보일 수밖에 없었던 질레트가 이제는 남성들의 각성을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The best a man can get(남자가 얻을 수 있는 최고의 것)’이라는 기존 슬로건 대신 ‘We believe: The best men can be(우리는 믿는다:당신이 될 수 있는 최고의 남성)’라는 새로운 가치를 내건 것도 질레트의 변화 중 하나다.
질레트의 새 광고는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유튜브에 올라온 영상에 무려 145만 건이 넘는 ‘싫어요’가 붙었다. 자칫 남성 전체를 매도한 것으로 비쳐질 수 있는 광고 내용 때문이다. 한 남성 네티즌은 댓글을 통해 “질레트 제품을 다시는 안 살 것”이라며 “평생 고객을 잃은 것”이라고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반면 호의를 표한 네티즌은 그 절반가량인 78만여명에 머물렀다.
질레트가 광고를 제작하면서 이런 역풍을 예상 못하지는 않았을 터. 하지만 미투(me too)를 위시한 여성들의 권리 찾기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상황에서 대표적인 남성 브랜드가 통념을 깨는 용감한 시도에 나섰다는 점은 높게 평가할 만하다.
재미있는 것은 질레트 광고에 ‘반기’를 든 또 다른 회사의 광고가 나왔다는 점이다. 시계 브랜드 에가드는 ‘What is a man?(남자란 무엇인가?)’라는 이름의 광고에서 ‘질레트에 대한 답변’이라고 대놓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