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팀부터 연구소까지…‘젠더이슈’에 주목하는 언론들
전담팀부터 연구소까지…‘젠더이슈’에 주목하는 언론들
  • 문용필 기자 (eugene97@the-pr.co.kr)
  • 승인 2019.06.18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겨레, 다음달 창간 목표로 디지털 매체 창간 준비
연합 성차별적 기사 관행 수정…KBS는 사내 젠더감수성 높이는 장치 마련
젠더문제에 보다 실제적으로 접근하려는 언론들이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지난 5월 23일 전북여성교육문화센터에서 개최한 제8회 젠더문화축제 모습. 뉴시
젠더문제에 보다 실제적으로 접근하려는 언론들이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지난 5월 23일 전북여성교육문화센터에서 개최한 제8회 젠더문화축제 모습. 뉴시스

[더피알=문용필 기자] 미투운동 이후 젠더이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게 높아진 가운데 언론계에서도 이 문제에 보다 실제적으로 접근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단순히 기획기사를 통해 사안을 조명하는 차원이 아니다. 전담팀 혹은 연구소를 개설하고 조직문화 차원에서 사내 젠더감수성을 높이려는 노력들이 엿보인다.

한겨레는 이달 초 디지털 미디어국 산하에 젠더팀을 구성했다. 다음 달 창간을 목표로 젠더 전문 디지털 매체 준비에 들어간 상황이다. 조직 규모는 5명 정도다.

기존 편집국에 소속된 젠더 담당기자는 젠더팀과 별도로 활동한다.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젠더이슈를 주요 어젠다로 삼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겨레 관계자는 새로 론칭되는 젠더 매체에 대해 “영상 기반이 될 것”이라고 했다.

서울신문은 최근 인사를 통해 김균미 대기자를 젠더연구소장으로 임명했다. 김 대기자는 서울신문 편집국장과 수석 논설위원, 그리고 한국 여기자협회 회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무심코 지나칠 만한 보도 관행에 주목한 케이스도 있다. 지난해 10월부터 기사 내 성별 표기 방식을 개선한 연합뉴스가 이에 해당된다.

연합은 성별 표기가 없어도 독자가 기사내용을 이해하는 데 지장이 없다면 남녀를 굳이 표기하지 않기로 했다. 인물정보를 표기할 때 남성은 나이만 명기하고 여성은 나이와 여성임을 병기했던 이전까지의 관례를 뒤집은 결정이다.

이는 노사편집위원회가 노조로부터 제안을 받아 편집국 내 의견수렴과 협의 등을 거친 사항이다. 기존 표기방식이 여성차별적일 뿐 아니라 ‘남성이 표준’이라는 잘못된 고정관념을 강화한다는 지적이 타당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KBS는 내부 구성원들의 ‘젠더 감수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에 나섰다. 국내 방송사로는 처음으로 각종 성비위 관련 상담과 조사를 전담하는 성평등 센터를 지난해 11월 만들었다. 

젠더문제에 보다 실제적으로 접근하려는 언론들이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11월 열린 KBS 성평등센터 개소식. KBS 제공
KBS는 지난해 11월 성평등센터 문을 열었. KBS 제공

센터는 직장 내 성폭력‧성차별 관련 신고를 접수 처리하게 되며 피해자 보호와 지원, 그리고 상담업무를 맡고 있다. 성폭력 고발사건에 대해서는 관련 조사를 진행한 후 징계를 요청하고 재발방지 대책도 수립한다. 이와 함께 직장내 성평등 조직 문화 구현을 위한 각종 교육과 제도 개선 업무도 맡는다.

이런 일련의 움직임과 관련, 김경희 한림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미투운동 이후 젠더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졌고 언론사 내부에서도 젠더문제가 많다는 점에 좀 더 주목하기 시작한 것”이고 평가했다.

젠더 갈등과 연관된 사건은 물론이거니와 평소 보도태도에서도 한국 언론들의 젠더감수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들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 김 교수는 “(언론사가) 성평등적 관점에서 젠더문제를 다루는 것은 지금보다 더 늘어나야 한다”며 “미디어를 통해 성적 고정관념이 계속 재생산 돼왔기 때문에 제대로 다루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진민정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은 “연예기사 등을 보면 외모 중심으로 여성을 묘사하는 방식 등의 문제들이 여전히 많다”며 “이에 대한 문제의식도 있을 것”이라고 봤다.

진 연구위원은 “(언론사들이 젠더감수성을 키우는) 이런 흐름은 긍정적인 신호”라면서도 “하나의 유행처럼 지나지는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단순히 각 언론사 별로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함께 모여 목소리를 내거나 논의하는 자리가 많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