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용 언어를 바꾸자
정책용 언어를 바꾸자
  • 유현재 (hyunjaeyu@gmail.com)
  • 승인 2019.12.0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현재의 Now헬스컴] 홍보 목적 외 성과·결과까지 내포해야

“보장성 강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에 대한 의견을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당신의 시각은 어떻습니까?”…

[더피알=유현재] 이런 설문을 받았다고 가정하자. 취지는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해당 정책들을 기획하고 실행해야 하는 정부기관이 일반 국민, 즉 정책 소비자들의 의견을 듣고자 하는 질문일 수 있고, 정책 관련 국민과의 소통을 위해 고용된 별도의 대행사나 조사회사 등이 설문을 기획했을 수도 있다. 그리고 통계 결과는 특정 정부 기관이 수행하는 구체적 소통 활동에 반영될 것이다.

하지만 내용을 곱씹어보면 과연 얼마나 많은 ‘일반적’ 정책 소비자들이 용어가 의미하는 실제적 사항들을 이해한 상태에서 답했을까 하는 의문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다수의 정보 이해 능력을 폄하해서야 안 되겠지만, 각각의 주제와 꽤나 관련이 깊거나 특별히 관심을 두고 있는 분들을 제외하면 핵심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만약 그렇다면 설문조사 결과는 물론이고 해당 결과를 반영해 기획된 소통활동 또한 주요한 의미와 가치를 갖기는 어려워 보인다.

실제로 정책홍보 관련 연구와 활동을 하다 보면, 위와 같은 허점과 딜레마에 자주 맞닥뜨리게 된다. 이른바 정책용(?) 언어들이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은 물론, 실제 소통 수단인 다수의 홍보물에도 무의미하게 전달되고 있는 상황을 자주 발견한다. 여타 분야의 정책에 있어서도 동일한 맥락의 아쉬움을 느끼지만, 특히나 국민의 생활에 직접 다가오는 사안이 많은 건강·의료·보건 등의 영역에서는 더욱 자주 눈에 띌 수밖에 없다.

사실 정책용어의 의미만을 파악하면 너무나 정확하고 중요한 가치가 내재된 개념들이 대다수이다. 국민들 중 누군가는 명확한 혜택을 누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도 그렇고 4대 중증질환 보장 확대, 의료 빅데이터 개방, 적정의료, 장기요양보험, 대사증후군, 인지지원등급, 급여-비급여 수가 등도 너무나 중요한 개념이고 사안들이다.

이처럼 중요한 일련의 용어들이 ‘TPO’ 즉 시간과 장소, 그리고 상황에 어울리지 않게 등장하는 순간 일반 국민은 이해하기 어려워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