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현재의 Now 헬스컴]
양국 다른 패턴 두드러져…보건 위기커뮤니케이션 중요한 비교 사례
양국 다른 패턴 두드러져…보건 위기커뮤니케이션 중요한 비교 사례

[더피알=유현재] 최근 한국방송학회에서 개최한 웨비나 ’코로나-19와 저널리즘: 지속가능사회를 위한 제언‘에서 발제를 했다. ’코로나-19 보도로 읽는 사회 패러다임‘이란 주제를 놓고 필자를 포함해 미국과 일본에서 활동하는 연구자들이 발제하고 토론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사전에 우리나라 주요 언론이 생산한 코로나19 보도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데이터 분석도구인 빅카인즈를 활용해 기사를 추출하고 특징을 훑는 방식을 취했다.
이번 분석에서 가장 중요하게 파악한 변수는 기사에 인용되는 핵심 정보원(Information Source), 즉 언론 보도에 단골로 등장하는 결정적 주체다. 그 결과 언론 보도에서 한미 양국은 상당히 다른 패턴을 보였다.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Times 더피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