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전파 상황…보고 체계 따라 피해규모 달라져
직원 통제 과정 무리수 잡음
경제적 여파, 기업 시민 역할 고려한 행보 필요
직원 통제 과정 무리수 잡음
경제적 여파, 기업 시민 역할 고려한 행보 필요

[더피알=안선혜 기자] 코로나19는 국내 최초 발병 후 심각 단계에 이르기까지 채 한 달이 걸리지 않았다. 아직 치료제도 없는 이 감염병 위기는 이제 소강기로 접어든 느낌이지만, 사회·경제적 여파는 훨씬 장기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게다가 2·3차 웨이브를 타고 다시 감염병이 유행하는 시나리오도 고려해야만 한다.
이른바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비즈니스 연속성 계획)는 위기 정국에서 반드시 수립해야 하는 체계다. 발생 단계별로 교차근무나 재택근무와 같은 ‘사업 운영 체계’를 미리 계획하고, 비상 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인력, 물자, 프로세스, 시설 등 자원을 확보하는 게 핵심이다.
▷관련기사: 코로나19 위기, ‘효율성’ 보다 ‘리질리언스’ 키워야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