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사이서 유형분류 혈액형으로 통해
마케팅·이벤트에 접목...소규모 타깃팅에 적합
마케팅·이벤트에 접목...소규모 타깃팅에 적합

[더피알=정수환 기자] 유형 나누기가 인기다. 코로나19라는 엄중한 시국 속에서 실시간 검색어 1위도 몇 번 차지할 정도로 세간의 관심이 높다.
Z세대나 밀레니얼과 같은 젊은층은 내가 누구인지, 나를 알아가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고 스스로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되길 바란다. 그래서 MBTI(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지표)는 혈액형과 다름없다. 상대의 MBTI를 스스럼없이 물어보고 서로를 이해하는 수단으로 쓴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MBTI쯤은 알아야 요즘 애들
기업들은 이런 특성을 마케팅과 브랜딩에 접목한다. 특히 밀레니얼이 상주하는 SNS에서 활발히 활용된다.
의류브랜드 휠라는 자사 아동복 캐릭터인 워니프렌즈에 MBTI를 입혔다.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더피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