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화 위기 , 전략·전술로 돌파 어려워
전문가 “일종의 인식적 동화현상 발생…오너십 문제는 단발적 대응으로 해결할 수 없다”
전문가 “일종의 인식적 동화현상 발생…오너십 문제는 단발적 대응으로 해결할 수 없다”

[더피알=안선혜 기자] 최근 빙그레는 남양유업에 일부지역 우유 생산을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방식으로 맡겼다가 된서리를 맞았다. ‘갑질 기업’에 일감을 줬다는 소비자 반발이었다.
남양유업이 갑질 기업 이미지로 낙인 찍힌 건 2013년 대리점주 대상 폭언과 주문하지 않은 제품을 강제 할당하는 밀어내기 관행이 알려지면서다. 이슈가 발생한지 거의 10년 가까이 되어가지만 아직도 ‘밉상’ 꼬리표를 달고 있는 셈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기업 평판이 돈을 만들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남양유업의 제품이나 계열사 생산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제품까지 찾아내는 놀이가 하나의 밈으로 진화했다.
등장 인물이 손으로 엑스를 그리는 듯한 영화 매드맥스의 한 장면을 활용해 남양 제품을 사면 안 된다는 신호를 보내는 짤(웃긴 이미지 파일)도 인기리에 활용되고 있다. 심지어 지난해엔 바코드를 입력하면 남양유업 제품 여부를 판별해주는 ‘남양유없’이란 사이트까지 등장했다.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