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능·드라마·다큐 등 콘텐츠 형식, 다양한 장르 선봬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확산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확산

[더피알=안선혜 기자] 기업미디어 채널인 뉴스룸 운영이 일반화된 가운데 코로나19 상황과 맞물려 운용의 묘를 점점 더해가고 있다. 회사의 공식 입장을 전달하는 창구로 활용하면서 콘텐츠 종류를 다양하게 가져가 종합미디어의 모습으로 변신하는 추세다. 뉴스, 다큐, 드라마, 예능, 교양까지 다양한 장르를 섭렵한 기업의 공식 미디어 채널은 어디까지 발전할 수 있을까.
①정례화 된 팩트체크
②콘텐츠 다양화 ing
③모바일 비주얼라이제이션
④기성 미디어와 공존방법
①정례화 된 팩트체크
②콘텐츠 다양화 ing
③모바일 비주얼라이제이션
④기성 미디어와 공존방법
최근 기업미디어에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할 때는 콘텐츠 형식과 장르가 보다 다채로워진 게 특징이다.
텍스트 중심의 전통 뉴스 포스팅을 넘어 영상 활용이 일반화됐고, 예능·드라마·다큐 등 다방면에서 콘텐츠 제작이 이뤄진다. 글 하나만 파면 되던 시절에서 멀티플레이어로 전환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LG전자는 지난 8월 신규 뉴스룸 ‘LiVE LG’(라이브 엘지)를 오픈하면서 카드뉴스든 영상이든 텍스트든 모든 콘텐츠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공을 들였다.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