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업 툴 중심 일하는 방식, 각사 새로운 규칙 적용 중
“그룹콜보다는 면대면 화상회의…모바일 업무 환경, 코로나 이후 강화”
“그룹콜보다는 면대면 화상회의…모바일 업무 환경, 코로나 이후 강화”

[더피알=조성미 기자] 코로나19로 인해 재택근무가 시작된 지도 1년이 지났다. 자의반 타의반 급물살을 타게 된 근무형태에 대해 많은 이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일에 따라 일할 장소를 정하고 협업 툴을 선택하며 업무 중심의 새로운 생태계가 구축됐다.
▷함께 보면 좋은 1년 전 기사: 엎어진 김에 시작된 ‘언택트 워크’, 실제 변화는?
우선 많은 기업이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거리두기 근무’를 시행하고 있다. 재택근무를 기본으로 하되, 업무에 따라 출근 인원을 정해 사내 밀집도를 낮출 수 있는 근무체계를 마련해 두고 있다.
예를 들어 거리두기 2.5단계에서 주 2일 혹은 출근 인원을 전체의 3분의 1로 제한하고, 2단계로 하향되면 주 3일이나 2분의 1의 인력만 출근이 가능하도록 조정하는 식이다.
재택근무 기간에 대한 기준도 회사마다 조금씩 다르다. 정부의 거리두기 단계 기간 동안 동일하게 적용하는 기업이 있는가 하면, 매주 상황을 보고 일주일 단위로 연장하기도 한다. 아예 무기한으로 정해둔 곳도 있다.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