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를 커뮤니케이션하는 각기 다른 방식
기후변화를 커뮤니케이션하는 각기 다른 방식
  • 정수환 기자 (meerkat@the-pr.co.kr)
  • 승인 2021.04.22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심각성 대비 사회적 관심도 여전히 낮아
해외선 좀 더 파격적으로 접근…시청각 자극 통해 ‘지구의 위기’ 환기
소비자 참여 유도하며 브랜드 존재감 드러내기도

[더피알=정수환 기자] ‘지구의 날’(4월 22일)을 맞아 전 세계에서 지구의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각종 행사와 메시지가 이어진다. 밤에 전등을 끄는 소등 행사가 대표적이다. 형광등 없는 깜깜한 시간을 갖는 데 동참함으로써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공유하고 대응 노력을 다진다. 다만 일회성 이벤트로 그칠 때가 많다. 

이상기후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코로나19 사태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지만, 대한민국에서 ‘기후위기’는 아직 절대 다수에게 의미를 주기도, 공감을 주기도 어려운 주제다. 그 이유에 대한 다양한 문화적·사회적 배경이 있겠으나 직접적으로 얘기하면 기후위기가 우리 삶의 ‘우선순위’가 아닌 게 크다.

김동석 엔자임헬스 대표는 “우리나라는 매일 뉴스가 쏟아져 나오고, 항상 엄청난 이슈들이 존재한다. 이런 이슈들 틈에서 기후위기가 우선순위를 갖기는 힘들다”며 “우리나라보다 좀 더 기후위기에 관심이 있는 유럽의 경우만 봐도 좀 더 안정된 상황이다. 그래서 공공을 위한 ‘기후변화’에 좀 더 관심 갖는 것 같다”고 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지속가능 콘텐츠는 ‘노잼’? CSC 위한 새 패러다임

사회적 분위기가 이렇다 보니 정부의 정책 역시 좀 더 시급히 해결할 문제 위주로 나오고, 국가적으로 기후 관련 아젠다가 나온 역사도 그리 길지가 않다. 김 대표는 “기후 관련 얘기가 활발한 미국, 유럽의 국가는 정치인들이 해당 아젠다를 공약으로 들고 나온다. 그 파괴력이 클 수밖에 없다”고 했다.

기업의 경우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생존의 필수 요건으로 생각하며 생산과 유통 공정에서 환경 관련 감축 및 효율화를 꾀하는 곳이 많다. 하지만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밖에 없는 기업 입장에서, 환경에서 더 나아가 ‘기후위기’를 이야기하기엔 복잡한 사정이 얽혀있다.

물론 아직 시작단계여서 미진할 뿐 최근 다양한 주체에서 기후위기를 막으려는 움직임과 의지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UN에 공식 기념일을 처음으로 제안했고, 그렇게 작년부터 9월 7일 ‘푸른 하늘의 날’이 지정됐다. 오는 5월 탄소중립위원회도 출범한다. SK, 한화, 현대차 등 기업에서도 기후변화 캠페인이 한창이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 국민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는 상황에서 진행되는 각계의 노력은 그 효과가 지속되기 어렵고 미미할 수밖에 없다.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김상엽 기획홍보국장은 “효율화를 시키며 온실가스를 덜 나오게 하고, 전기차를 사용하며 석탄발전을 제한시켜 신재생에너지를 만드는 등 기업과 정부에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런 노력이 빛을 발하려면 국민적 공감과 여론이 함께해야 한다”며 “그래야 소비자들이 기후위기를 막는 데 도움이 되는 제품을 사고, 더 진흥되면서 다른 소비자들의 관심도 높아지는 선순환이 일어날 것”이라고 했다.

김 국장은 “사실 정부나 기업에서 행하는 것들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이 많다. 일반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실천해주면 감축 효과가 바로 나타나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소비자들이 실행하게끔 하는 캠페인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