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역 모델, 이제는 사회방역으로 가야”
“K방역 모델, 이제는 사회방역으로 가야”
  • 안선혜 기자 (anneq@the-pr.co.kr)
  • 승인 2021.11.0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감염병 위기 전문가 좌담 ③]김동석 엔자임헬스 대표, 김양중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근평가위원
김준일 뉴스톱 대표, 김희진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 임운택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김희진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 김준일 뉴스톱 대표, 김동석 엔자임헬스 대표, 안선혜 기자. (오른쪽 사진·위부터)김양중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근평가위원, 임운택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사진: 포토그래퍼 성혜련

[더피알=안선혜 기자]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도입이 내년 2월 예정됐다.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한 로드맵이 차근차근 실행되고 있는 가운데, 길었던 감염병과의 사투를 사회·보건·언론·커뮤니케이션 전문가들과 현장과 화상회의를 병행해 리뷰하는 시간을 가졌다.

▷먼저 보면 좋은 기사 
 ‘한국형 위드코로나’를 위한 현실적 조언
 “백신 미접종자 차별 논란 해소하려면”

시민들이 인지하기 쉬운 명시적 메시지를 통해 방역에 대한 경각심을 지속하는 한편, 보상체계와 같은 사회방역에 있어서는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포스트코로나를 대비한 소통 과제들을 좀 더 논의했다. 

참석자 (가나다순)
김동석 엔자임헬스 대표, 김양중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근평가위원(전 의료전문 기자), 김준일 뉴스톱 대표, 김희진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 임운택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K방역이 비교적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들었음에도 초기부터 강력한 봉쇄조치를 취했던 국가들과 종종 비교 대상에 올랐습니다. 검사·추적·치료 3T(Testing-Tracing-Treatment)로 대표되는 K방역 시스템은 이후 새로운 감염병이 유행할 때도 유효하게 활용될까요.

김양중 위원 우리 같은 경우 2015년 메르스 때 확진자 진단이 늦어지면서 병원 감염이 일어난 전례가 있어 이번에 굉장히 강력한 조치들이 만들어졌죠. 아마도 과거 케이스가 없었더라면 인권단체에서 많은 문제 제기를 했을 만한 조치들이고요. CCTV를 동원하거나 개인 카드 내역을 조회하고 통신사 정보를 활용하는 등 확진자와 접촉자를 전부 다 가려내 동선을 파악하는 상황이 벌어졌죠.

이 조치가 초기에는 분명히 효과를 발휘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메르스와는 다른 질병이었다는 게 드러나면서 다른 조치들이 추가적으로 많이 활용될 필요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서 사망률이 충분히(생략) 낮은 상황에서는 중환자실·격리시설을 많이 확보하고 대응 의료 인력들을 마련하는 정책이든지, 사회적으로 소외돼 있어서 검사를 못 받는 사람들에 대한 대책들이 훨씬 더 필요했다고 봅니다.

메르스 때 훈련된 것들을 끝까지 가져갔다는 측면에서 초기에는 성공적인 모델이라고 평가를 받을 수 있지만, 중장기 이후의 대책으로써는 과연 누구를 이렇게 희생시켜가면서 이런 대책들을 계속 추진하고 있느냐는 비판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일상 회복을 시도하는 현재 시점에서는 환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수많은 곳에서 검사를 더 많이 받아야 되고 수많은 곳에서 격리·능동적 감시라든지, 회사를 못 나온다든지 이런 조치들이 훨씬 더 많아질 겁니다. 과연 그 상황에서 현재 K방역 모델들이 버텨낼 수 있겠느냐. 지금처럼 밀접 접촉자를 격리하고 학교나 회사를 못 가게 하는 게 과연 타당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새로운 문제들이 많이 제기될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