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소통 기능 분권화 필요”
“새 정부, 소통 기능 분권화 필요”
  • 강미혜 기자 (myqwan@the-pr.co.kr)
  • 승인 2013.01.31 13: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종혁 광운대 교수, 효과적인 정부 정책 홍보 방안 제시

[더피알=강미혜 기자] “새 정부는 소통과 공감의 시대가 요구하는 담론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정부가 정한 원칙과 철학적 기조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국민 공감을 얻는 정부 정책 홍보 방안에 대한 이종혁 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의 조언이다.

▲ ‘새 정부 소통을 위한 정부 정책홍보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는 이종혁 광운대 교수.

이 교수는 한국광고홍보학회 주최 지난 30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특별 세미나에서 ‘새 정부 소통을 위한 정부 정책홍보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략’을 주제로 발표자로 나서 “새 정부 소통 환경은 변화된 리더십의 인식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교수는 기존 정부 소통의 문제점과 관련해 크게 ▲전략적 관리 영역 ▲메시지 영역 ▲매체 영역 ▲공중 영역 ▲평가 영역 등의 다섯 가지로 구분해 설명했다.먼저 전략적 관리 영역에서의 문제점은 정책 및 정부 소통을 총괄하고 조정하는 컨트롤타워 부재와 맞닿아 있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5년 단임제인 현 정권 체제에서는 영역별 소통 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5년 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부처별 전문 기구를 구성하는 식의 소통 기능의 분권화가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메시지 영역에선 체계적이지 않은 메시지 과잉 전달이 문제점으로 언급됐다.

또 매체 영역에선 정부가 대외적으로 활용하는 각종 매체들 가령 KTV(한국정책방송), 정책 포털, 공감 등의 간행물이 산발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공중영역에선 스마트한 대중을 고려하지 않은 공금자 중심의 조사 관행을 각각 문제로 지적했다.

획일적 평가 방식·결과물 중심의 홍보가 정부 소통의 질 낮춰

평가 영역에서도 부처별 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획일적 평가 방식, 결과물 중심의 홍보활동에 치중하는 점이 원활한 정부 소통을 저해하고 있다고 봤다.이 교수는 “이런 기존 정부 소통의 영역별 문제점들이 소통의 질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해 왔다”며 차기 정부의 개선 의지와 변화 노력을 주문했다.

정부 소통의 개선 방안으로는 크게 세 가지를 들고 나왔다. 첫째, 여론의 추이를 먼저 알아 사전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 이 교수는 “정책 쟁점과 관련한 사전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며 “목표 공중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접근, 쟁점 및 위기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트레이닝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 번째로는 정부 내 소통 전문 조직 구성이다. 이 교수는 “기관의 소통 기능별 역할을 강화해 기획·분석 기능을 강조하는 형태의 단위 조직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며 “통합 소통 부처와의 역할 분담 및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는 정부 소통의 원칙과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이 있어야 한다. 이 교수는 “정부 소통 기능 강화를 위한 통합적인 소통 가이드라인이 제시 및 공유돼야 정권 차원의 소통체계를 확립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