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탠드 문제, 논의만 있고 대안은 없어
뉴스스탠드 문제, 논의만 있고 대안은 없어
  • 이슬기 기자 (wonderkey@the-pr.co.kr)
  • 승인 2013.07.03 14: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실패 공감 속 언론사-네이버 간 입장차 여전

[더피알=이슬기 기자] 네이버 뉴스스탠드 전환 4개월째를 맞고 있지만 여전히 뉴스스탠드발 언론계 패닉은 계속되고 있다. 언론사들은 트래픽 급감에 따른 경영난을 호소하고 있고, 네이버 자체도 이용자 불편에 따른 내부 출혈을 감수하고 있다.

지난 2일 서울 세종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온라인 뉴스 유통 서비스의 현황과 쟁점 세미나’는 뉴스스탠드 도입 이후 계속적으로 불거지는 이같은 쟁점 사안을 짚어보는 자리였다.

이날 언론과 학계는 이용자 불편을 이유로 뉴스스탠드 이전 뉴스캐스트 체제에 대한 향수를 표했으나, 네이버는 언론 스스로 ‘언론다운 언론’이 되길 주문하며 뉴스캐스트로의 회귀는 없음을 분명히 했다. 뉴스스탠드가 실패했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었지만 대안 역시 없었기에 원론적 이야기만 쳇바퀴돌 듯 되풀이됐다.

▲ 2일 오후 2시 40분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는 한국언론정보학회 주최로 온라인뉴스 유통 서비스의 현황과 쟁점을 논의하는 세미나가 열렸다. 토론에 참여한 (왼쪽부터) 유봉석 nhn 실장, 엄호동 파이낸셜뉴스 부국장, 문철수 한신대 교수, 김경환 상지대 교수, 이주원 닐슨코리안클릭 팀장, 윤석년 광주대 교수, 박상호 한국방송협회 연구원, 임종수 세종대 교수, 이화행 동명대 교수, 신한수 이데일리 부장.

“전체 시장의 트렌드를 바꾸기 위해서는 단위사, 단위업계의 노력만으로는 안 된다. 우선적으로 언론사 입장에선 각 사가 협력모델을 더욱 다양화하고, 업계 모두가 오픈마인드로 상생모델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바람직한 포털과 언론의 상생관계는 단기적으로 언론에 수익을 남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여론형성 창구로서 인터넷의 건강성을 찾고 언론사의 포털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

토론에 참여한 신한수 이데일리 콘텐츠사업팀 부장은 뉴스스탠드 문제를 주요 이해관계자들의 문제해결 의지 부족으로 봤다. 그는 5년 전인 2008년 10월 뉴스캐스트 시행을 앞두고 열린 세미나의 발제문을 소개하며 “이 내용이 지금도 어색하지 않다는 건, 온라인뉴스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구성원의 문제해결 의지가 부족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신 부장은 “뉴스스탠드에 대한 이용자의 냉랭한 반응은 생산자(언론) 중심의 아젠다 세팅이 이용자(독자)들의 변화를 이끌 수 없다는 것을 반영한다”면서 “어떻게 해야 뉴스 소비자들이 뉴스를 잘 소비하고 제대로 즐길 수 있게 하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고민이 필요하다”며 이용자 중심 뉴스 서비스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화행 동명대 교수는 “우리나라 온라인 저널리즘은 초기 서비스 제공시점부터 뉴스를 너무 헐값에 던져주기 시작할 때부터 잘못됐는데 그것이 현재 포털이 뉴스 시장을 좌지우지하게 되는 상황을 초래했다”고 설명하며, 시장 개선을 위한 키워드로 실질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가진 유통사업자의 책무성, 뉴스를 생산하는 언론사의 저널리즘 가치 보호, 이용자 편의성 등을 꼽았다.

뉴스스탠드를 향한 쏟아지는 비판…네이버측 “문제 인지하나 뉴스캐스트로 돌아가진 않아”

엄호동 파이낸셜뉴스 부국장은 “현재 뉴스스탠드는 실시간 검색어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 이는 오히려 연성뉴스의 소비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뉴스캐스트와의 병행서비스도 생각해봐야 한다”며 자율 심의 기능에 대한 고민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문철수 한신대 교수는 “요즘 학생들은 가장 큰 언론사를 물으면 네이버 등 포털을 꼽는다”며 과거와 크게 달라진 미디어 환경 실태를 언급했다. 문 교수는 “그만큼 개별 언론사들의 영향력은 크지 않다. 사실상 포털을 통한 뉴스 확산이 주를 이루는 시대이기 때문에 슈퍼갑으로 부상하고 있는 포털들이 이전보다 더 큰 사회적인 책임감을 가져야 하며, 아울러 이용자 편의중심 변화, 광고주들의 관심을 끌 운영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김경환 상지대 교수는 “뉴스스탠드 서비스는 이용자들의 불편을 야기한다는 데에 가장 큰 문제가 있다”고 밝혔고 임종수 세종대 교수는 “뉴스서비스의 유통구조 자체를 제고하고 개선해 나가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 네이버는 낚시성 기사제목,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기사로 클릭 경쟁이 극에 치달았던 뉴스캐스트를 보완하고자 지난 5월부터 뉴스스탠드를 도입했다. 하지만 언론사들의 선정성 시비는 여전한 실정이다.(사진은 7월 2일자 뉴스스탠드의 한 언론사 메인 캡쳐.)

토론에 참여한 학계 및 업계 관계자 8인의 쏟아지는 비판 후 입을 연 유봉석 NHN 미디어서비스실 실장은 기존 네이버측 입장을 되풀이했다. 네이버 역시 뉴스스탠드 문제는 인지하고 있지만 뉴스캐스트 체제로 돌아갈 수는 없다는 것.

유 실장은 “뉴스캐스트와 뉴스스탠드 모두 단일 서비스 모델이 모든 문제를 다 커버할 수 없고, 각 서비스가 담을 수 있는 가치가 모두 다르다”는 말로 뉴스스탠드의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네이버의 노력만으론 부족하다. 언론사가 언론사답게 저널리즘의 가치를 지키며 참여주체로서의 자율관리를 통해 뉴스스탠드를 키워가고 싶다”며 뉴스서비스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

또한 “참여 매체들의 여러 가지 고통은 알고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감내해야 중장기적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질적으로 네이버측은 뉴스스탠드를 계속 가져가며 추이를 살피겠다는 의미다.

결국 이날 세미나는 뉴스스탠드 서비스를 타깃으로 쏟아진 업계 불만과 비판, 이를 단칼에 자른 네이버 간의 입장차만 확인한 꼴이 됐다. 지속적으로 문제가 돼왔던 온라인 뉴스서비스의 상생을 위해 업계는 물론 학계도 머리를 모았지만 뾰족한 대안이나 합의점은 찾지 못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