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넥션 많아졌는데 커뮤니케이션은 사라지고 있다”
“커넥션 많아졌는데 커뮤니케이션은 사라지고 있다”
  • 강미혜 기자 (myqwan@the-pr.co.kr)
  • 승인 2018.04.27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T·E·D토크 ②] ‘확장된 자아’가 주는 편리의 양면
아재들은 계속 수다 중. 사진: 이윤주 기자 / 장소 협조: 책과얽힘

[더피알=강미혜 기자] ‘아재신잡’을 표방했건만 당일 얼굴 마주치자마자 “근데 그 컨셉 너무 식상하지 않아?”하는 팩폭에 복잡해진 머릿속.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을 입밖에 꺼냈다가 모든 혁명의 내핵까지 파고들 기세의 두 시간 남짓한 시간을 지나며 머릿속은 물음표, 느낌표, 물음표, 점점점으로 복잡성을 더해갔다.

각 분야 전문가의 방대한 지식의 흐름대로 ‘T·E·D’로 자연 전환된 이날의 토크. 활자의 압박 속에서도 정독을 부탁드린다. 참고로 T·E·D의 의미는 맨 마지막에 나옴.

참석자 (가나다 순)
박재항 하바스코리아 전략부문 대표
신현암 팩토리8 대표
정동훈 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

[토크①] “인간이 AI에 적응해 가고 있다”에 이어..

강미혜 기자(이하 강): 인공지능, 3D 프린터, AI스피커, 로봇청소기 등등 많은 키워드들이 나왔는데요, 내 삶을 직접적으로 변화시키는, 실질적으로 일상 속에서 체감되는 지점은 뭔가요?

한상기 대표(이하 한): 기술을 떠나 일상에서 사람을 만나고 사람과 대화하는 일이 많이 줄어들고 있다고 생각해요. 요즘은 식당 예약할 때도 전화로 안 하잖아요. 얼마 전에 와이프와 만난 지 40주년을 기념하려 바(bar) 예약을 하려고 페이스북 페이지에 들어갔더니 거기서 바로 채팅창 떠서 예약에서부터 주문까지 다 했어요. 물론 그 뒤에는 사람이 있겠지만 사람과의 직접적인 컨버세이션(conversation·대화)은 전혀 없었던 거죠. 커넥션(connection·연결)은 많아졌는데 커뮤니케이션은 사라지고 있다는 증거거든요. 실제 카카오톡 주고받는 거에 익숙한 요즘 아이들은 전화하는 거, 사람과 직접 대화하는 걸 두려워해요.

정동훈 교수(이하 정): 저는 일상에서 전적으로 올인하고 있는 기술을 꼽으라면 네비게이터 하나인 것 같아요. 여기 올 때도 네비게이터에 완전히 의지해서 왔거든요.(웃음)

박재항 대표(이하 박): 10년 전인가 *필립 코틀러 이런 얘기를 했어요. 시카고에서 살다가 겨울이면 따뜻한 플로리다로 가서 머물곤 했는데, 코틀러 부인이 세러소타(플로리다주 중서부에 있는 휴양도시)에서 차로 1시간 반 거리에 있는 탬파베이도 못 가봤다는 거야. 그랬던 사람이 차에 네비게이터를 장착하고 드디어 갔다네요? 근데 웃긴 게 차를 몰고 가는 중간에 뭐가 있었는지 아무것도 기억을 못하더라는 거죠. 그냥 기계적으로 왔다갔다만 한 거지.(웃음)

*필립 코틀러(Philip Kotler) - ‘마케팅의 아버지’라 불리는 미국의 경영학자.

한: 그런 걸 소위 인지과학 쪽에선 ‘확장된 자아’(Extended Self)라고 얘기해요. 외부에 있는 미디어로 나의 능력이 확장된 거라고 보는 거죠. 대표적인 게 스마트폰이거든요. 우리 더 이상 전화번호 같은 거 기억 안 하잖아요. 스마트폰에 다 있으니까. 네비게이션도 마찬가지에요. 지도를 찾거나 방향을 찾는 능력이 네비게이션이란 확장된 자아로 간 거에요. 사실 공간지각 능력은 생물학적으로 남성이 뛰어나다고 인식돼 왔는데 우리로선 안타깝게도 그 능력이 사라진 거지.(웃음) *<말을 듣지 않는 남자 지도를 읽지 못하는 여자>라는 책도 제목이 바뀌어야 하는 거 아닌가 몰라요.(웃음)

*<말을 듣지 않는 남자 지도를 읽지 못하는 여자> - 앨런 피즈 , 바바라 피즈 지음. 100개국, 51개 언어로 번역된 세계적 베스트셀러. 과학적 분석과 실증적 사례로 남녀 간의 차이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낸 남녀 심리학 개론서.

강: 그러면 확장된 자아인 스마트폰을 가지고 주로 뭘 하세요? 전화 말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