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피알=안선혜 기자] 배너 중심으로 이뤄지던 타깃 맞춤형 광고가 영상 광고에도 적용되는 추세다. 이용자가 보려던 영상에 맞춰 관련 내용이 송출되고, 날씨에 따라 다른 광고들이 전달된다. 그러다보니 한 캠페인에 등장하는 광고수도 여러 개다. 다양한 소비자들의 관심사에 맞춰 최대한 접점을 만들어내기 위한 시도의 향연이다.
정치에 관심이 많은 이용자들에게는 유명 미드(미국 드라마) ‘하우스 오브 카드’ 영상 일부를 편집한 광고를 노출하고, 식도락가들에게는 일드(일본 드라마) ‘심야식당’을 편집한 광고를 내보낸다. 이런 식으로 만든 광고 버전이 무려 20여개다. 여기에 시청 시간대와 날씨 등에 따라 카피를 바꾼 버전까지 더하면 제작된 영상이 100여개에 달한다.
LG유플러스가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홍보하기 위해 넷플릭스 3개월 이용권을 내걸며 진행한 광고 캠페인이다. 유튜브 채널에 기반한 이 광고 캠페인은 스킵(skip) 버튼을 누르는 이용자들을 최대한 만들지 않겠다는 일념 하에 진행됐다.
먼저 유튜브에서 분류한 55개 타깃에 따라 여러 개 영상 버전을 제작하고, 이용자들이 보려는 영상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있는 콘텐츠를 내보냈다. 상황 설정 역시 동영상 헤비유저라면 공감할 만한 내용이다. 결정적 장면으로 넘어가려는 순간 데이터 사용량을 초과했다는 메시지가 오는 설정이다.
해당 광고를 담당한 펜타클 관계자는 “시청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최대한 공감이 가서 스킵 버튼을 누르지 않도록 다양한 버전의 영상을 제작했다”며 “그냥 아무에게나 노출하는 것이 아닌 각 광고 영상을 관심그룹에 노출하도록 세팅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