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계 잇단 오너리스크…‘캐슬’은 언제까지 유지될까?
언론계 잇단 오너리스크…‘캐슬’은 언제까지 유지될까?
  • 강미혜 기자 (myqwan@the-pr.co.kr)
  • 승인 2019.05.3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자토크] 투명성의 이중잣대 여전

[더피알=강미혜 기자] 요즘 아주 흥미로운 뉴스들이 계속 나오고 있다. 언론사 사주의 비위(非違) 또는 비행(非行)에 관한 다른 언론의 고발성 보도에서 비롯되는 뉴스들이다. ‘들’이란 복수의 접미사를 붙인 건 글자 그대로 대상이 여럿인 까닭이다. ‘언론사주 수난시대’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하나씩 돌아가며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아직 입증되지 않은, 어쩌면 끝내 입증 못할 의혹 수준의 보도에 개인적으로 유독 관심이 가는 건 언론사 오너 또는 그 가족 이슈라는 특수성 때문이다.

일반 기업에서도 오너(가) 관련 이슈는 손쓰기 힘든, 그렇지만 회사 차원의 리스크로 영향 받지 않도록 총력을 다해 관리해야 하는 1급 사안이다. 그리고 언론 입장에서 오너리스크는 사회와 권력을 감시·비판하는 ‘언론다움’을 매섭게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기삿거리이기도 하다.

언론은 기업을 향해 지배구조의 건전성과 투명성을 높여야만 조직의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며, 그 정점에 있는 오너(총수)야말로 누구보다도 도덕적·사회적으로 높은 책무를 이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잘못했으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벌 받아야 사회정의가 바로 선다고 질타하며 무엇을 잘못했는지 털어 보여주기도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투명성의 잣대가 스스로에는 엄격하게 적용되지 않았다. 저널리즘 기능이라는 특수목적이 있다 해도 언론사 역시 구성원을 통해 영리 활동을 하는 사단 법인이다. 그럼에도 조직 내부는 들여다보기 어렵고 범접하기도 어려운 성역과도 같았다. 사주 역시 베일에 둘러싸여 그 누구보다도 알현하기 어려운 ‘귀하신 존재’로 여겨졌다.

권력의 제4부로 있지만 제대로 된 견제와 감시가 없는 이런 상황에서 최근 들어 몇몇 언론 오너의 ‘과거 행적’이 들춰지며 기사를 낳고 있다. 웬만하면 언론이 다른 언론을 직접적으로 겨냥하지 않는 관례적 상도의가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재미있는 건 보도 대상이 된 이들의 대응방식이다. 개인의 사적 이슈임에도 언론사가 직접 나서 해명자료를 배포하고, 일선 기자가 공격받는 오너의 ‘가신’ 역할을 하기도 하며, 지면 1면을 할애해 오너 입장을 대변하기도 한다. 국민 알권리를 충족시키려면 ‘셀프보도’로 의혹을 해소해도 시원찮을 판에 오너 이슈 앞에서는 방어태세로 일관하는 모습이다.

이런 땜질 식으로 ‘언론 캐슬’이 언제까지 유지될 수 있을까? 분명한 건 스스로 관리하지 않으면 언젠가는 외부에 의해 관리당한다는 위기 원칙에서 언론도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시대가 됐다는 점이다. 바깥에서 속살이 보일 정도로 균열은 이미 벌어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