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대변인’ 뽑는다고 정치권이 젊어질까
‘청년 대변인’ 뽑는다고 정치권이 젊어질까
  • 문용필 기자 (eugene97@the-pr.co.kr)
  • 승인 2019.07.22 1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자토크] 내년 총선 앞두고 여야 영입 열풍
1차원적 사고? ‘누가’ 보다 ‘어떻게’ 더 고민해야
자료사진.뉴시스
자료사진.뉴시스

[더피알=문용필 기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다음 달 초부터 청년 대변인 공개모집에 나선다고 한다. 만 35세 이하의 상근 부대변인을 남녀 1명씩 선발한다. 청년관련 사안에 대해 당 차원의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정의당에서도 조만간 청년 대변인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심상정 정의당 신임대표는 지난 21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정의당이라는 공간에서 청년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뜻을 펼칠 수 있도록 마이크와 연단을 드리겠다”며 3명의 공동 대변인 중 1명은 청년 대변인으로 채우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진보 정당들에 비해 청년층 지지가 약하다는 평가를 받는 보수 정당들은 이미 청년 부대변인 제도를 도입했다. 자유한국당은 지난 4월부터 오디션에 착수해 이달 초 9명을 임명했다. 학생과 직장인, 당직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직업군이 포함돼 있다.

이에 앞서 바른미래당은 청년 부대변인들이 지난해부터 논평을 내놓기 시작했다. 이쯤 되면 청년 대변인 혹은 부대변인 제도는 여야를 막론하고 하나의 유행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경제불황과 취업난 등 청년들의 고충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 상황에서 관련 현안을 당사자들의 목소리로 소통하겠다는 행보는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30대 이하 국회의원을 찾기 어려운 한국 정치판에서 젊은 정치지망생들에게 기회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청년 대변인 제도의 순수성에 대해서는 다소 의구심이 든다. 내년 4월로 예정된 총선을 얼마 앞두지 않은 시점이기 때문이다. 젊은 유권자들에게 자당을 소구하기 위한 일종의 구색 맞추기로 느껴지는 이유다. 물론 이전에도 이 제도를 운영한 정당들이 있긴 하지만 기존 대변인들과 크게 차별됐다고 평가하긴 어려워 보인다.

정당 대변인‧부대변인의 가장 큰 본질은 ‘스피커’의 역할이다. 정치, 사회, 경제 등 분야를 막론하고 자당의 입장과 정책을 국민들과 기자들에게 얼마나 커뮤니케이션 하는지에 있다. 즉 ‘누가’ 전달하느냐 보다는 ‘어떻게’ 전달하느냐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청년’이라는 간판이 추가된다고 해서 획기적인 목소리가 나올 거라는 기대감은 들지 않는다. 젊은 시선으로 사안을 바라볼 순 있겠지만 당의 기본적인 노선에서 벗어나긴 어려울 테니 말이다. 그 노선은 결국 당 지도부 등 기성 정치인들이 정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게다가 정치권이 그간 청년들의 목소리를 얼마나 경청해왔고 이를 정책에 얼마나 반영해왔는지도 의문이다. 노력이 아예 없었다고 치부할 순 없지만 적어도 청년들의 피부에 와 닿는 정책이 부족했다는 점에서는 여야 모두 자유로울 수 없다.

이같은 상황에서 만약 젊은 유권자들의 지지를 이끌어내려는 전략으로 청년 대변인‧부대변인 제도를 선택했다면 이는 1차원적인 사고에 다름 아니다. 그보다는 주요 당직과 공천과정에서 청년 정치인들을 과감히 등용하는 것이 낫지 않나 싶다. 젊은 정당이라는 이미지를 홍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결국 보수든 진보든 정당은 정책으로 승부해야 한다. ‘청년’은 정치적 키워드가 아니라 정책적으로, 그리고 진지하게 접근해야 할 사회적 의제임을 정치권이 명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