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림 대상 동참 시 긍정버즈 전환 가능
전문가 “저관여 제품군은 고관여 대비 메시지 수용도 높아”
‘우발적 콘텐츠’의 휘발성…장기 브랜딩은 고민해봐야
전문가 “저관여 제품군은 고관여 대비 메시지 수용도 높아”
‘우발적 콘텐츠’의 휘발성…장기 브랜딩은 고민해봐야

[더피알=조성미 기자] 비의 ‘1일 1깡’, 켈로그의 ‘파맛첵스’의 공통점은 과거 부정적이었던 이슈를 역발상으로 활용해 콘텐츠 흥행에 성공했다는 점이다.
무플보다는 악플이 낫다고 콘텐츠에 쏠려 있는 관심의 방향을 전환시켜 유희로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요즘의 추세다.
▷관련기사: ‘어그로’가 마케팅 전략이다?
물론 모든 부정버즈를 커뮤니케이션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질에 대한 소비자의 비판이 아니라, 실수나 헛다리를 짚은 정도의 ‘놀림’ 수준이라야 재활용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소스는 대부분 부정 버즈가 발생한 이후 짧게는 2~3년에서 십수년 동안 대중과의 친숙 과정을 거친다.
시간이 지나며 부정적이었던 시각보다는 재미있게 즐기는 요소가 더 크게 자리하는 식으로 변모하게 되는 것. 그렇게 콘텐츠가 확산되고 재생산되면서 그 기원과는 상관없는 밈으로만 접하는 이들이 많아지게 된다.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더피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