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L 도입한 SK, 마이너스 지표도 투명하게 공개
60명 규모 바른바음경영실, 금융사 최초 ESG전략부 신설 등
60명 규모 바른바음경영실, 금융사 최초 ESG전략부 신설 등

[더피알=안선혜 기자]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의미하는 ESG는 단순히 ‘착한 기업이 되자’는 구호가 아니다. 변화한 사회적 환경 속 리스크 관리 요소로 바라보는 게 오히려 적합하다. 실질적 압박으로 다가오는 정부 정책 변화와 글로벌 협약 속에서 기업들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해외 증권거래소는 상장사에 ESG를 공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는 지배구조보고서가 의무공시다. 향후 단계적으로 확대해 2026년부터는 전체 코스피 상장사에 의무화한다는 계획.
▷관련기사: ESG 최적화, 어떻게 이뤄지고 있나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