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언론 관계서 풀리지 않는 딜레마
광고·협찬과 맞바꾸는 기사 횡행, 남탓만 해선 문제 해결 어려워
업종 따른 자체적 홍보·마케팅 윤리 규정도
광고·협찬과 맞바꾸는 기사 횡행, 남탓만 해선 문제 해결 어려워
업종 따른 자체적 홍보·마케팅 윤리 규정도

PR인의 업무수행 중 최고의 가치는 공익에 두며 PR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더피알=안선혜 기자] 한국PR협회에서 지난 1999년 제정한 한국PR인 윤리강령이다. 하지만 기업 내부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PR인은 조직의 뜻을 거스를 수 없다는 점에서 실천에 현실적 어려움이 따르기도 한다.
조직의 이익을 대변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이자,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필수적 윤리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관련기사: 기업PR의 윤리란 무엇인가
언론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풀리지 않은 윤리적 숙제들이 많다. 과거 횡행하던 촌지 문화는 사라졌지만, 최근엔 기자 개인이 아닌 조직 차원의 횡포가 윤리적 언론관계를 맺는 데 많은 걸림돌이 된다는 전언이다.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Times 더피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