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장’과 ‘현장’ 사이에 놓인 기자윤리
‘헌장’과 ‘현장’ 사이에 놓인 기자윤리
  • 문용필 기자 (eugene97@the-pr.co.kr)
  • 승인 2021.03.09 08: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리 가이드라인 있음에도 실제 업무와 괴리감
광고주 눈치 등 먹고 사는 문제 딜레마 심해
“경제부 기업담당 발령 꺼리는 분위기도”

[더피알=문용필 기자] 지난 1월 19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선 의미 있는 행사가 열렸다. 한국기자협회와 한국인터넷신문협회가 개최한 언론윤리헌장 선포식이었다. 13명의 언론인과 언론학자 등이 모여 제정위원회를 구성하고 4개월간의 논의 끝에 탄생한 결과물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날로 다원화하는 언론 환경에서 저널리즘의 원칙과 책무에 충실한 윤리적 보도는 시대의 요청”이라고 서문에 명시된 언론윤리헌장에는 총 9개의 대원칙이 담겼다.

이를 살펴보면 △진실을 추구한다 △투명하게 보도하고 책임 있게 설명한다 △인권을 존중하고 피해를 최소화한다 △공정하게 보도한다 △독립적으로 보도한다 △갈등을 풀고 신뢰를 북돋우는 토론장을 제공한다 △다양성을 존중하고 차별에 반대한다 △품위 있게 행동하며 이해상충을 경계한다 △디지털 기술로 저널리즘의 가능성을 확장한다 까지다.

단지 원칙만 담은 것은 아니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비교적 상세한 방안도 함께 내놓았다.

일례로 언론사와 기자의 가장 기본적 책무인 공정보도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안이나 갈등적 사안을 다룰 때는 다양한 입장을 두루 담아 전체를 아우르는 균형 잡힌 시각과 관점을 보여준다”며 “윤리적 언론은 시시비비를 가리는 언론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사회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의견의 경중을 고려해 보도 내용의 양적·질적 균형을 맞춘다”고 명시됐다.

기존의 언론윤리강령이나 준칙들을 두고 ‘모호하다’거나 ‘추상적이다’라는 평가가 나왔지만 이번 언론윤리헌장은 그런 측면에서 단점들을 상당히 보완했다고 볼 수 있다. 언론에 대한 우리사회의 곱지 않은 시선이 점점 더해지고 있는 시기에 기자들 혹은 언론사 스스로가 성찰의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과연 이같은 윤리 가이드라인이 기자들의 취재 현장이나 기사 작성 과정에 얼마나 적용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언론유관단체들이 내놓은 기존 윤리강령들이 엄연히 존재함에도 내용조차 읽어보지 않은 기자들이 비일비재한 것이 현실. 이에 더피알은 실제 현장에서 느끼는 윤리적 딜레마가 무엇인지 익명을 전제로 전·현직 기자들에게 질문을 던져봤다.

어렵사리 취재에 응한 기자들이 대부분 꼽은 윤리적 딜레마는 광고문제와 직결돼 있다. 아직까지 대다수 언론사의 주 수익구조가 광고인 만큼 직장인으로서 사익(社益)과 직업인으로서 기자다움 사이에서 갈등하는 케이스가 적지 않다. 이는 “상업적 이해가 보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는 내용이 담긴 언론윤리 헌장과는 상충되는 내용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