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여 제품에도 팬덤 마케팅 적용
구매 망설이게 하는 장벽 낮춰…온라인 바이럴은 ‘덤’
구매 망설이게 하는 장벽 낮춰…온라인 바이럴은 ‘덤’

[더피알=조성미 기자] 통상적으로 광고모델을 선정할 때는 브랜드와 이미지가 어울리는, 제품 혹은 서비의 핵심 타깃에게 소구할 수 있는지 등을 고려한다. 그리고 요즘에는 한 가지가 더 있다. 바로 충분한 화력의 팬덤을 갖고 있는지이다.
팬덤이 광고·마케팅 시장의 큰 손으로 떠오르며 새로운 행태들이 나타나고 있다. 스타가 좋아하는 제품이나 어울리는 브랜드에 직접 모델 기용을 제안하기도 한다. 물론 이는 광고가 성사될 경우에 ‘아묻따(아무것도 묻고 따지지 않고)’ 소비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기도 하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팬덤발 ‘광고소취’, 새 흐름되나
보통의 소비는 인지-흥미-검색-구매의 과정을 거치지만, 팬덤 마케팅의 경우 가격이나 성능을 크게 따지지 않고 오로지 팬심으로만 구매가 이뤄진다. 따라서 주로 대중적이고 관여도가 낮은 제품들로 식품류에서 활발하게 이뤄져 왔다.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Times 더피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