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 진단 ②] 기술로 한층 교묘…기업도 타깃

의도성 안고 타깃그룹 세분화…평판 훼손, 경제적 이득 노리기도

2018-03-22     서영길 기자

국내에서 가짜뉴스(fake news)라는 말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며 각계 논의로 이어진지도 1년여가 흘렀다. 가짜뉴스의 진화 양상과 문제점, 대응방안 등을 심층취재했다.

① 내 맘에 안 들면 가짜뉴스?
② 기술로 한층 교묘…기업도 타깃
팩트체크 되고 있나

[더피알=서영길 기자] 정치권을 떠나 사회 각 분야에서 특정한 목적을 갖고 의도적으로 만들어지는 가짜뉴스 자체도 크나큰 문제다. SNS를 타고 급속도로 확산되던 텍스트 기반의 ‘널리 알려주세요’식의 지라시성 가짜뉴스는 이제 옛말이다. 수법이 더 정교해지고 타깃에 맞게 세분화되는 추세다.

허광준 전 오픈넷 정책실장은 “초기 노인층 위주로 SNS 메시지를 통해 확산되던 텍스트 기반 가짜뉴스가 노출도나 확산력이 많이 떨어진 건 사실”이라며 “최근엔 가짜뉴스 내용에 공들인 관련 사진을 첨부해 신뢰도를 끌어올리려는 시도가 눈에 띈다”고 전했다.

그 이유에 대해 허 전 실장은 “아무래도 단순 텍스트보다는 한 장의 사진이 가짜뉴스를 진짜로 믿게끔 하는데 훨씬 효과적”이기 때문이라고 보면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편집 툴 기능이 빠르게 발달하며 가짜뉴스를 더 쉽게, 더 그럴싸하게 만들 수 있는 환경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물론 가짜뉴스가 나돌던 초기에도 내용과 관련된 사진을 첨부해 신뢰도와 파급력을 높이려는 시도는 있어왔다. 하지만 오래 전 사진을 현재 일어난 사건인 양 은근슬쩍 끼워 넣거나, 사진의 특정 부분을 발췌해 교묘하게 내용을 조작하는 등의 형태가 대부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