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피알 매거진

[가짜뉴스 진단 ①] 팩트와 프레임 사이

정치 논리 의한 자의적 해석 많아져…내 맘에 안들면 가짜뉴스?

  • 기사입력 2018.03.21 09:00
  • 최종수정 2019.08.13 15:21
  • 기자명 서영길 기자
최근엔 가짜뉴스(fake news) 개념을 자기 방어나 합리화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국내에서 가짜뉴스(fake news)라는 말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며 각계 논의로 이어진지도 1년여가 흘렀다. 현 시점에서 가짜뉴스가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 그 양상과 문제점, 대응 방안 등을 심층취재했다.
① 내 맘에 안 들면 가짜뉴스?
기술로 한층 교묘…기업도 타깃
팩트체크 되고 있나

[더피알=서영길 기자] 가짜뉴스 문제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오히려 심해졌다고 봐야 한다. 특히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가짜뉴스는 더욱 횡행할 여지가 크다. 정치 이슈를 타고 확산력을 높이는 가짜뉴스 특성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엔 그 양상이 조금 달라졌다. 정치영역을 너머 사회 각 분야로 범위를 넓혀 진화하고 있고, 심지어 가짜뉴스 개념을 자기 방어나 합리화 수단으로 이용하는 꼼수도 엿보인다.

▷1년 전 관련기사: 조기 대선 현실화, ‘가짜뉴스’ 경계령 고조

규제책을 마련하려는 정부나 관계 부처도 확실한 개념을 정립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여론 질서를 훼손하고 심각한 사회 갈등을 조장할 수 있는 가짜뉴스를 법적으로 제재하려고 해도 개념이 모호하다보니 어디서부터 어떻게 손을 대야할지 갈피를 잡지 못하는 모양새다. 가짜뉴스 현상과 대책 등을 논하기에 앞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 과연 어디까지를 가짜뉴스로 봐야하느냐는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