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지원금도 지역화폐로…‘동네지갑’ 현주소는?
재난지원금도 지역화폐로…‘동네지갑’ 현주소는?
  • 안해준 기자 (homes@the-pr.co.kr)
  • 승인 2020.04.0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류형 화폐 벗어나 모바일 접목
정부 지원 통해 몇 년 새 서비스 잇달아 론칭

[더피알=안해준 기자] 코로나19 장기화로 생계지원을 위해 지급되는 긴급재난지원금이 지역상품권이나 전자화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소비를 살리기 위한 현금성 지원책의 일환이다. 사실 이전에도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는 목적에서 최근 몇 년 새 지역화폐는 변신을 거듭했다. 전통시장에서 상품권으로만 쓸 수 있었던 예전과 달리 다양한 형태로 새롭게 다가서고 있다. 전국 우리 동네 주민들의 지갑이 되고 있는 지역화폐의 현주소를 살펴봤다.
①정부 지원 등에 업고 출시 러시
②캐시·포인트 넘어 사회적 가치 창출로

경기연구원이 지난해 발표한 ‘지역화폐 도입·확대에 따른 성과분석 및 발전방안’에 따르면 현재 국내 지역화폐는 보완적 기능을 하고 있다. 대다수의 지방자치단체가 온누리상품권과 같은 지류형 화폐를 사용 중인데, 일반(법정) 화폐와 비교해 일회성 소비가 많고 운영상의 비용 문제도 존재한다. 통인시장의 ‘엽전’, 서울 마포구 공동체 경제네트워크의 ‘모아’처럼 민간단체에서 발행하는 지역화폐도 사용 범위가 한정적이다.

경북 칠곡군에 거주하고 있는 50대 박희순(가명)씨는 “칠곡에도 지역화폐가 운영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개인적으로 사용 가능한 가맹점을 자주 찾지는 않아 필요성은 크게 못 느낀다”고 말했다. 많은 사람들이 전통시장이 아닌 대형마트와 같은 브랜드 점포를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실정이다.

이에 각 지자체들이 지역화폐로 용처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정부가 2022년까지 18조원 규모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하는 만큼 이참에 지역경제 활성화에 효과를 보겠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역상권을 살려 소상공인 소득이 상승하면 자연스레 지자체 예산 확보에도 도움이 된다.

인천시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모바일앱과 선불카드를 결합한 ‘인천e음카드’를 내놓으며 선제적 행보를 보였다. 충전식 선불카드로, 인천 내 17만여개 점포에서 결제할 수 있다. 다만, 지역경제 활성 취지에 맞게 대형 백화점, 마트 등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다.

오윤주 인천시 소상공인정책과 주무관은 “기존 지류형 상품권에서 벗어나 카드와 모바일 앱을 통해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고자 했다”며 “지난 2월 기준 가입자 94만명을 넘어섰고, 발행액은 1조7500억 정도”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