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질 기자, 홍보 이외 업무 과다, 파격적 인사로 직급체계 꼬여

“스타트업 홍보를 하다 보면 잔잔한 호수에 끊임없이 작은 돌들을 계속 던지고 있는 느낌이다. 확 체감하는 반응 없이, 언젠가는 큰 물결을 일으킬 거라고 기대할 뿐이다.”
-홍보인 OOO-
[더피알=이윤주 기자] ‘제로 베이스(zero base)’에서 시작하는 회사의 특성상 스타트업 홍보인들은 별별 일을 다 겪게 된다. 그래서 준비했다. 이름하야 스타트업 홍보인의 희로애락. 1년차부터 10년차까지 다양한 업력의 홍보인이 각자의 생생한 경험을 들려줬다. 취재원 보호를 위해 이름은 A~Z로 표현한다.
[희 喜] “‘기사 내볼게요’ 이 한마디 못 잊어요”
[로 怒] “전화 받자마자 ‘어른 바꿔!’라뇨”
[애 哀] “기자님, 플랫폼이 뭐냐면요.”
[락 樂] “이전 직장, 애증해요”
[로 怒] “전화 받자마자 ‘어른 바꿔!’라뇨”
[애 哀] “기자님, 플랫폼이 뭐냐면요.”
[락 樂] “이전 직장, 애증해요”
#대기업 2년 차가 홍보팀장으로, 중소기업 5년 차가 대리로 왔다. 인맥으로 보나 경험으로 보다 대리가 절대적으로 우세. 결국 팀원이 팀장을 데리고 다니는 서로 민망한 상황이 연출됐다.
#스타트업계는 이직이 잦다. 간혹 경쟁사로 옮기는 경우도 생긴다. 정보 보안 가이드라인이 없어 걱정하던 차에, 우리회사 내부정보가 줄줄 새고 있다는 얘기가 들려온다. 아니나 다를까. 기어코 기사가 났다.
#홍보에 대해 ‘1’도 모르는 대표가 말한다. “유가기사로 내보내면 되니까 기자미팅은 하지 마. 기자 밥도 사주지 마. 돈 아까워.” 하지만 결국 홍보인은 자신의 사비를 털어 기자 미팅에 나가고 있다.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