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리스크’, 총수의 경직된 태도부터 고쳐야
‘오너리스크’, 총수의 경직된 태도부터 고쳐야
  • 강미혜 기자 (myqwan@the-pr.co.kr)
  • 승인 2013.09.23 1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 특별좌담 ⓛ] 오너리스크 특징 해부
새 정부 들어 여러 이유로 오너리스크가 불거지고 있다. (자료사진)

[더피알=강미혜 기자] 박근혜정부가 재계의 잘못된 관행에 메스를 들었다. 대기업 오너에 대한 압박 수위도 높아지고 있다. 재벌 총수들의 잇단 구속은 재계에 ‘오너리스크’ 공포를 확산시켰다. 위기의 최전방에 서서 언론을 비롯한 대내외 수많은 이해관계자들과 맞닥뜨려야 하는 홍보팀 입장에서도 오너리스크는 최대 난제다. 과연 오너리스크의 특징은 무엇이며, 대응방안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각계 전문가 5인이 풀어놓는 인사이트 속에서 그 해답을 찾아본다.

오너리스크를 주제로 한 이번 좌담회에는 실제 오너리스크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분야별 전문가 5인이 참석했습니다. 다소 민감한 문제인 만큼 허심탄회한 얘기를 나누고자 참석자들을 익명 처리합니다.

 좌담회 참석자 

오너리스크를 경험한 전직 대기업 홍보임원(이하 홍보임원)
오너리스크를 경험한 전직 대기업 법무팀장(이하 법무팀장)
재계 사정에 밝은 한 소식통(이하 재계소식통)
십수년간 오너리스크를 지켜봐온 언론사 중견기자(이하 중견기자)
오너리스크 기업을 직접 카운슬링한 전문 컨설턴트(이하 컨설턴트)

흔히 정권이 바뀔 때 마다 기업 손보기용으로 특히 오너가 수난을 겪는 경우가 많다. 최근 대기업 총수들의 잇단 구속도 이런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지 않을지. 각자의 견해는 어떤가.

홍보임원  최근의 잇단 오너리스크는 정권 탓도, 그렇다고 여론 탓도 아니다. 박근혜정부에서의 그룹 총수 수난사는 회사에 내재돼 있던 위기가 어느 순간 터져 나온 것이다. 언론이야 위기발생 타이밍과 위기요소가 된 팩트를 엮어서 스토리를 만들어내지만, 회사 안의 관점에서 보면 정권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기업 내부 모순이 드러나는 것을 정권 탓으로 돌리는 총수는 스스로를 되돌아봐야 한다.

컨설턴트  동감한다. 정권이 바뀐다고 해서 안 들어갈 사람이 들어가고, 들어갈 사람이 안 들어가고 하진 않는다. 최근의 여러 오너리스크를 봐도 최초 혐의는 어제오늘 불거진 게 아니었다. 진행형이었던 이슈들이 사회적 분위기와 여러 정치적 요인과 맞물려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 물론 언제 터뜨릴지 타이밍은 조절했겠지만.

법무팀장  정권이 바뀌면 통상 분위기 전환 차원에서 검찰에서 관리·보관해 오던 데이터들을 오픈, 여론을 만드는 작업을 하긴 한다. 그런데 최근 모 그룹사 오너의 경우 약간 정치적 색깔이 있던 것도 같다. 전 정권에서 시작해서 충분히 끝낼 수 있었던 문제를 일부러 현 정부로 딜레이시킨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덕분에 사법부는 재벌 오너에 대해 관대한 처벌을 하는 일종의 관행을 깨뜨리고, 엄격한 형을 내리는 방향으로 선회하는 모습을 확실히 보여줄 수 있었다. 어영부영하다가 새 정부의 재벌 정책 기조가 탄력을 잃어버릴 수도 있는 상황이었는데 초기 타이밍을 잘 잡았다. 다는 아니겠지만 어느 정도 분위기 잡는용으로 오너 수사가 이뤄지고 있는 듯하다.

재계소식통  정부 초기 대통령 지지율 때문에 재벌 수사에 강하게 드라이브 건다는 얘기도 많이 나온다. 서민들이 먹고 살기가 힘들다 보니 이것저것 불만이 많은데, 그런 분위기를 쇄신하는 차원에서 (재벌)기업을 타깃으로 하는 거다. 사실 기업은 일자리 창출이나 사회적 기여 등 여러 좋은 일을 많이 해도 약점이 많을 수밖에 없는 집단 아닌가. 특히 우리나라 재벌 지배구조는 오너가 적은 지분을 갖고 전체를 지배하는 아주 특수한 상황이다. 그래서 정권의 비교적 쉬운 희생양이 되는 게 아닐까.

기업위기는 다양하다. 공장에 불이 나기도 하고 제품 내 이물질 발견, 임직원의 실수로 인한 평판추락 등 크고 작은 여러 유형이 있다. 이중 제일 큰 위기는 아무래도 총수가 얽혀 있는 건인데, 위기관리 측면에서도 오너리스크는 일반 기업위기에 비해 상당히 까다로울 듯싶다.

컨설턴트  일반적 기업위기와 오너발 기업위기의 가장 큰 차이점은 위기대응에 있어서 집단 의사결정이 가능하냐 그렇지 못하냐이다. 오너리스크는 다른 위기와 달리 오너 개인만이 알고 있는 내용이 많다. 수하들이 있긴 하지만 최측근이라 해도 많아야 80~90% 선이다. 100% 정확한 건 오너 당사자만이 안다. 그렇기 때문에 위기관리 시스템이 갖춰진 조직이라 하더라도 오너리스크 땐 기존 매뉴얼이나 시스템이 제대로 가동되지 못한다.

더욱이 대응 논리 자체도 철저히 법무중심으로 세워지다 보니 강력한 로펌들과 조직 내 VIP들이 독단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상황이 연출된다. 자연히 내부적으론 여러 유관부서들 간 통합적 의사결정이 안 된다. 결과적으로 위기관리의 프로세스를 밟아 진행되지 못하기 때문에 오너리스크는 대응이나 수습이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중견기자  오너리스크 관리가 어려운 건 리스크를 만든 오너의 태도 탓도 크다. 예전 사회부장 시절 모그룹 총수가 큰 건으로 사고를 친 적이 있다. 해당 기업 관계자들에게 이런 때일수록 총수가 직접 나서서 쿨하게 대국민 사과하고, 비난 여론을 무마해야 한다고 건의하라고 수차례 강조했는데도 아무도 그 말을 못하더라. 그만큼 총수에게 직언하기가 어려운 구조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