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피알=김경탁 기자 | 어린이 출입을 금지하는 ‘노키즈존’이 많은 논란과 우려에도 전국적으로 확산 중인 가운데 추태를 부리는 일부 노인 손님에 시달리던 한 카페가 ‘노시니어존’을 선언했다는 소식으로 온라인이 들썩이기도 했다.
여성과 장애인, 이주민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무차별한 배제와 차별이 어린이와 노인에게까지 스스럼없이 행해지는 것 아니냐는 염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노키즈존(No kids zone)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이 조사에 따르면 공공장소에서의 어린이 안전문제는 부모의 책임이 가장 크다는 인식이 강한 가운데, 노키즈존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시각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편경험 61.6%…“이해하지만 제재 필요”
전체 응답자 10명 중 6명(61.6%)은 공공장소에서 만 13세 어린이로 인해 불편함을 느낀 경험이 있었는데, 불편을 겪었던 장소로는 식당(72.2%, 중복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카페(48.4%), 대중교통(45.3%), 대형마트(32.5%)가 그 뒤를 이었다.
불편을 경험한 상황을 이해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어느 정도의 제재가 필요하다(75.8%)는 응답이 높았지만,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이해하고 넘어간다는 응답이 이전 조사 대비 소폭 증가(2019년 5.9% → 2023년 12.0%)했다.
누구나 어린 시절이 있기에 이해할 수 있다(55.5% → 59.8%)는 응답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국민들의 관용적인 태도가 과거에 비해서는 다소 강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어린이에 대한 태도가 관용적인 것과 대조적으로 공공장소에서의 어린이로 인한 불편 경험은 대체로 이를 제재하지 못한 부모의 책임이 가장 크다(70.3%)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전체 응답자의 76%는 공공장소에서 어린이와 관련한 사건사고의 핵심은 동반한 부모에게 있는 경우가 많다고 응답했고, 부모의 방관과 무책임으로 사고가 발생했다는 평가도 59.3%에 달했다.
거의 모든 응답자가 보호자는 공공장소에서 어린이에게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97.5%, 동의율) 적극적으로 케어 할 책임이 있다(94.7%)고 인식했다.
어린이 안전사고는 부모 혼자만의 책임이 아니며(20대 60.4%, 30대 66.4%, 40대 79.2%, 50대 87.2%) 늘 발생할 수 있는 사고라는 점을 사회 구성원들이 알아줄 필요가 있다(20대 84.8%, 30대 88.0%, 40대 94.0%, 50대 96.0%)는 평가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았다.

공공장소의 ‘노키즈존’ 설정에 대해서는 10명 중 6명(61.9%)이 찬성 입장을 밝혔다.
상대적으로 저연령층(20대 68.4%, 30대 71.6%, 40대 54.4%, 50대 53.2%)과 자녀가 없는 응답자(미(비)혼 67.9%, 기혼 무자녀 70.4%, 기혼 유자녀 53.6%)일수록 찬성이 많았지만 자녀가 있는 기혼자의 경우에도 반대(32.6%)보다 찬성(53.6%)하는 입장이 높게 평가되고 있었다.
만 13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응답자 10명 중 3명(31.1%, 중복응답)은 공공장소에 어린 자녀를 동반했을 때 주변 사람들이나 직원에게 눈치를 받은 경험이 있을 만큼 심리적으로 불편했던 경험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노키즈존에 찬성(61.9%)하는 가장 핵심적인 이유로는 어린이를 제대로 통제하지 않는 부모들이 많다(69.0%, 중복응답)는 점이 꼽혔다. 손님들은 불편하거나 피해 받지 않을 권리가 있고(67.5%) 어린이로 인한 소음으로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61.1%)는 공감도 많았다.
반면 노키즈존 반대(24.0%) 이유는 어린이와 부모 역시 원하는 매장에 방문할 권리가 있고(57.5%) 아이를 배제하는 것 자체가 사회적 차별이 될 수 있다(57.5%)는 점을 지적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반적으로 노키즈존은 개인의 자유이기에(79.8%, 동의율) 이익을 위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 인식이 중론이었지만(71.5%), 이에 못지않게 사회적 차별로 인한 갈등에 불안함을 느끼고 경우도 적지 않았다(50.6%).
조사를 진행한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측은 조사 결과에 대해 “노키즈존에 대한 뜨거운 논쟁만큼이나 서로 다른 시각과 이해, 존중의 태도가 필요한 이때, 어린이의 미성숙한 행동을 바로잡고 배려하는 '어른과 부모'로서의 참 역할을 되묻게 되는 요즘”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