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비약 편의점 판매, 홍보 부족으로 소비자만 ‘혼선’
상비약 편의점 판매, 홍보 부족으로 소비자만 ‘혼선’
  • 강미혜 기자 (myqwan@the-pr.co.kr)
  • 승인 2012.11.20 11: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행 초기 준비미흡, 비싼가격 등 불만 제기돼…복지부측 “과도기 진통”

[The PR=강미혜 기자] 지난 15일부터 24시간 편의점에서도 감기약, 소화제 등 가정상비약 구매가 가능해진 가운데 시행된 지 며칠 지나지 않아 준비 미흡과 비싼 가격 등의 문제가 불거지며 인식제고를 위한 대국민 홍보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 지난 15일부터 가정상비의약품 편의점 판매가 시작된 가운데 서울 종로구 한 편의점에서 직원이 판매대에 의약품을 진열하고 있다.

우선 아직까지 편의점에서 상비약을 살 수 있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가 언론보도 등을 통해 관련 사실을 지속적으로 노출시키고 있지만 시행 초기라 이를 잘 모르는 국민(소비자)이 상당수다.

서울 노원구에 사는 30대 주부 안모씨(36)는 “아이들이 아직까지 어린데 해열제 등 간단한 상비약을 집 근처 편의점에서 쉽게 살 수 있게 돼 좋다”면서도 “지난주부터 판매가 이뤄졌다고 하던데 어제야 뉴스를 통해 얼핏 들었다. 관련 내용에 대한 좀 더 명확한 고지가 있었으면 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일반 약국보다 비싼 가격도 도마에 올랐다. 파스의 경우, 5~6매짜리 가격이 일반 약국에선 2000~3000원대인데, 편의점용 4매짜리 제품은 3400~3500원 선으로 책정돼 있다. 이외 소화제, 감기약 등도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2배 가까이 비싸다.

소비자뿐만 아니라 유통 채널을 맞고 있는 편의점 점주 입장에서도 이번 제도 시행이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상비약을 판매하는 편의점 점주들은 사전 교육을 받고 관련 내용을 숙지하고 별도의 시스템 및 매대도 설치해야 하는데, 들이는 ‘품’에 비해 전체 배출에서 상비약 판매가 차지하는 비중이 현저히 낮다고 하소연한다. 이 때문에 적지 않은 편의점이 상비약 취급을 꺼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 이천시에서 편의점을 운영하고 있는 박모씨(46)는 “본사에서 지침이 내려와서 지난주부터 (상비약) 판매를 시작했는데 야간에 1~2개 팔았을 정도로 아직까지는 찾는 손님이 많진 않다”고 전했다.

편의점 점주도 불만…“들이는 품에 비해 상비약 매출 많지 않다”

특히 제도 시행에 따른 점주의 불편을 토로했다. 그는 “처음에 본사측에 상비약 판매에 관해 신청을 하는데 이 때 3만원을 내고, 등록증이 나오면 찾으러 갈 때 추가로 1만원을 낸다”면서 “크다면 크고 작다면 작은 금액일 수 있지만, 전국적으로 따져보면 상당한 비용이다. 여기에 별도 교육 이수를 위한 시간까지 들여야 한다”면서 “점주들끼린 ‘투자한 시간이나 돈을 마진으로 뽑아내려면 과연 얼마나 팔아야 하느냐’는 우스갯소리도 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여러 지적과 관련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과도기에 겪는 어쩔 수 없는 진통이라는 입장이다. 복지부 의약품정책과 정경실 과장은 “언론을 통해 지속적으로 알리고 있기 때문에 상비약 편의점 판매에 대해선 대부분 인지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판매 사실 자체보다는 제대로 판매하기 위한 안전 커뮤니케이션에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

또 가격 논란과 관련해선 “24시간 체제로 돌아가는 편의점 특성상 가격이 비싼 건 어쩔 수 없다. 편의점 제품이 대형 마트와 비교해 비싼 것과 같은 이치”라면서 “더욱이 약물 오남용을 막기 위해 소포장으로 판매되다 보니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된다”고 이해를 구했다.

그러면서 “이번 가정상비약 편의점 판매는 야간 등 약국이 문을 닫았을 시간에 긴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시행되는 것”이라며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다는 부담이 있다면 미리 약국에서 약을 사서 비치해두면 된다”고 덧붙였다.

편의점 점주 입장과 관련해서도 일부에 해당되는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정 과장은 “시행 첫날인 11월 15일 기준으로 전체 2만3000여개의 편의점 중 약 50%인 1만1558개 매장이 상비약 판매에 참여했는데 3~4일이 지난 현재는 1만5000여개 정도로 크게 늘어났다”며 “안전 교육에 대한 수요도 계속 늘어나는 추세”라고 전했다. 

이종혁 교수 “제도 시행 효과 중첩되면 자연스레 해결될 일”

이처럼 상비약 편의점 판매를 둘러싸고 서로 다른 입장차에 의한 잡음이 흘러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전문가는 제도 시행 초기에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말한다.

공공PR전문가 이종혁 광운대 교수는 “어떤 정책이든 시행 관련 찬반의 쟁점이 있으면 실행단계에 가선 여론전 현상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며 “이번 논란 역시 상비약 구매가 필요한 사람들이 개별적으로 구매를 하고, 그 효과들이 중첩돼서 쌓이면 자연스레 해결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교수는 또 “이번 상비약 편의점 판매는 가격이 어떻다 등의 지엽적 문제를 논의할 것이 아니라, 파느냐 안파느냐가 이슈의 핵심”이라고 설명하면서 “이미 팔기로 확정된 이상 왈가왈부 보다는 제도 시행에 따른 부작용 즉, 약물 오남용에 대한 지식을 전하고 유의사항 등을 인지시키려는 커뮤니케이션활동에 더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