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메시지 전면에 등장한 똥과 방귀, 노인 섹스 역시 긍정 대상
MZ 중심의 글로벌 흐름…면밀한 관찰 후 적정선 찾아야
MZ 중심의 글로벌 흐름…면밀한 관찰 후 적정선 찾아야

[더피알=정수환 기자] 남성과 여성의 신체 특징에 기인한 ‘솔직 화법’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나고 있다. 과거엔 불편하거나 민망해서 직접적 언급을 피했던 생리적 현상이나 신체의 자연스러운 변화를 수용, 브랜드 색깔을 보여주는 전략적 선택이다.
▷먼저 보면 좋은 기사: 생리, 털, 수유, 고환…‘바디 포지티브’ 넘어 ‘내추럴 포지티브’로
나아가 좀 더 보편적인 신체 기능도 긍정한다. 대표적인 소재가 ‘똥’이다. 더러운 이미지가 강하기에 그동안 광고에선 ‘똥’이라는 단어를 쓰지 못했다. 설사 그게 장의 내용물을 배설시킬 목적으로 판매되는 완하제 광고여도 말이다.
그런데 최근 필립스의 완하제 광고가 ‘당신은 좋은 똥을 쌀 자격이 있다(You deserve a good poop)’라는 직접적인 문구를 선보여 큰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