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희의 AI마케팅 내비게이션]
보수적 색깔 빼고 초개인화 마케팅 시도
소셜미디어도 선택적 활용…게임으로 친밀감 확보하기도
보수적 색깔 빼고 초개인화 마케팅 시도
소셜미디어도 선택적 활용…게임으로 친밀감 확보하기도

[더피알=임성희] 젊은 소비층 공략을 위해 명품 브랜드도 전략을 새롭게 가져가고 있다. 명성만 믿고 기존 포지션을 고수하다간 디지털 전환(DT)기를 거치며 존재감을 잃을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하면서다.
루이비통도 실리콘밸리 출신의 IT 전문가를 영입하는 등 DT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그 결과 팬데믹으로 글로벌 패션 시장이 직격탄을 맞은 와중에도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거두며 일정 부분 성과를 입증했다. 루이비통의 DT 행보는 밀레니얼의 ‘최애템’이 된 구찌와 비교할 때 비슷한 듯 다른 지점이 엿보인다.
▷온라인서 튀지 않았던 루이비통, 반전 실적의 비결에 이어...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Times 더피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