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상황 속 교육 채널로 메타버스 부상
자유롭게 소통하며 유대감 형성…MZ 요구 추진된 사례도
교육성과에 대한 효과분석 필요…유행처럼 따라서는 안돼
자유롭게 소통하며 유대감 형성…MZ 요구 추진된 사례도
교육성과에 대한 효과분석 필요…유행처럼 따라서는 안돼

[더피알=조성미 기자] 가상공간 안에서 아바타를 움직이고 미션을 수행하는 것, 예전에는 그저 즐거움을 위한 게임정도로 여겼다. 하지만 팬데믹 이후 올해부터 분위기가 확 달라졌다. 공간을 초월해 만날 수 있는 메타버스는 채용설명회부터 신입사원 연수, 그리고 업무 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함께 보면 좋은 기사: SK텔레콤, 메타버스에서 채용설명회 갖는다
코로나19발 팬데믹 장기화가 우리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비대면이 일상이 되며 온라인을 통해 할 수 없는 것이 없는 상황이 됐고, 나아가 오프라인에서의 경험을 온라인으로 충족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기업을 찾아온 ‘뉴비’와의 첫 커뮤니케이션 역시 이 같은 변화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지고 있다.
LG화학은 MZ세대 신입사원들의 연착륙 프로그램의 하나로 메타버스 교육을 도입했다. LG화학 커뮤니케이션팀 고장석 사원은 “화상회의 툴을 활용해 얼굴을 보고 이야기한다고 해도 소통이 어렵고 상호작용이 부족하다고 느껴서 재미도 있고 실제로 만나는 것처럼 가상 교육장을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Times 더피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