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뉴스시장 ‘빗장’ 풀리나
네이버 뉴스시장 ‘빗장’ 풀리나
  • 강미혜 기자 (myqwan@the-pr.co.kr)
  • 승인 2014.02.10 09: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제휴 언론사 크게 늘어…업계 해석 ‘분분’

[더피알=강미혜 기자] 포털 사이트 네이버가 언론사들과의 제휴 폭을 크게 넓혀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네이버는 최근 뉴스스탠드에 30개가 넘는 매체를 신규 편입시켰다. 네이버가 이처럼 많은 수의 언론사와 한꺼번에 제휴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 특히 개중에는 뉴스스탠드는 고사하고 뉴스검색 제휴에서도 ‘탈락’했던 매체들까지 포함돼 있어 이유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번에 네이버 뉴스스탠드에 새로 들어간 언론사는 총 35개다. 경제지와 스포츠/연예지, 지역일간지 및 방송, 전문지, 매거진 등 카테고리별로도 골고루 포함됐다. 기존 뉴스스탠드 입점 매체수가 100여개였던 점을 감안하면 30% 가량 늘어난 셈이다.

▲ 자료사진=네이버 뉴스스탠드 화면(캡처)

업계 안팎에선 뉴스스탠드의 ‘입점 문턱’이 낮아진(?) 것과 관련, 네이버가 언론사들에 화해의 손짓을 보내는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지난해 독과점 논란으로 곤혹을 치른 네이버가 여론을 주도하는 언론과 더 이상 불필요하게 각을 세우지 않으려고 일종의 ‘유화정책’을 쓰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업계 사정을 잘 아는 한 중견기자는 “네이버로서 제일 두려운 게 독과점 사업자 지정이다. 다행히 공정위와 동의의결 잠정안 마련으로 독과점 논란이 일단락되는 듯하지만, 국내 미디어 생태계에서 네이버 영향력이 어마어마한 만큼 언제 또다시 불거질지 모를 일”이라며 “뉴스시장을 선택적으로 개방해 여러 언론사로부터 비판의 대상이 됐던 네이버가 이제는 실익 없는 일에 굳이 적을 만들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듯 보인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동의의결은 시장지배력남용 가능성이 있는 사업자가 스스로 원상회복, 소비자 피해구제 등 시정방안을 제시하고 타당성을 인정받으면 사건을 종결하는 제도다. 네이버는 현재 2000억원의 상생자금을 출연하고 검색결과 공정성 강화 등 자체적으로 다양한 시정방안을 내놓으며 자사를 둘러싼 곱지 않은 시선을 누그러뜨리는 데 힘쓰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해 네이버는 독과점 문제로 언론으로부터 십자포화를 맞았다. 다수의 언론사들이 네이버를 ‘포털공룡’으로 지목, 네이버의 온라인 독과점 횡포나 콘텐츠 독식 문제를 강도 높게 비판하며 법적·정책적 규제 필요성에 목소리를 높였다. 당시 이같은 언론의 움직임은 뉴스 유통 시장에서 네이버의 막강 파워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된다는 공통된 인식에 따른 견제로 풀이됐다. 네이버에 빼앗긴 뉴스 유통 주도권을 되찾아오기 위한 언론사들의 ‘네이버 손보기’가 재점화됐다는 시각이 많았다.

이 과정에서 메이저언론에 비해 상대적으로 ‘찬밥’ 신세를 면치 못했던 언론사들 역시 비판 대열에 가세하며 네이버 규제 여론에 힘을 실었다. 한 예로 지난해 <아시아투데이>의 경우, ‘국민 위의 네이버’란 기사꼭지를 신설하고 전담취재반을 만들어 수개월 간 네이버 때리기에 사활을 걸다시피 했다. 뉴스스탠드 탈락과 검색 제휴 중단에 따른 전방위 ‘기사맹공’이었다. <아시아투데이>는 이번 뉴스스탠드 신규 입점 매체 리스트에 당당히 이름을 올리게 됐다.

네이버의 ‘유화정책’?…35개 언론사 뉴스스탠드 신규 입점

결국 네이버가 상당수 언론사들의 뉴스스탠드 신규 진입을 허용한 것은 언론사와의 불필요한 긴장관계를 해소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모 인터넷신문사 대표는 “까놓고 네이버가 ‘검색권력’을 무기로 중소·군소언론사들에게는 일종의 ‘갑’으로 행세하지 않았느냐”며 “그간 누적돼 온 언론사들의 불만을 잠재우고 시장 독과점 논란에서도 벗어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뉴스스탠드 제휴 폭을 넓힌 듯하다”고 봤다.

▲ 뉴스제휴와 관련, 네이버가 여론을 주도하는 언론과 더 이상 불필요하게 각을 세우지 않으려고 일종의 ‘유화정책’을 쓰기 시작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사진은 지난해 12월31일 공정거래위원회 김재중 시장감시국장이 네이버와 다음커뮤니케이션과 협의한 동의의결 잠정안 마련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 ⓒ뉴시스

같은 맥락에서 뉴스스탠드 뿐만 아니라 뉴스 검색 제휴도 수월해졌다는 게 언론계의 중론이다. 네이버는 그간 중소·군소 언론사와의 뉴스 제휴에 인색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제휴평가위원회를 통해 개별 언론사와의 뉴스제휴 여부를 심사해 왔는데, 상당수 중소·군소지가 탈락의 고배를 마셔야 했다.

네이버 입장에선 언론답지 않은 언론을 걸러내 뉴스 이용자의 편의를 높인다는 취지이지만, 검색제휴를 맺지 못한 수많은 매체들은 심사기준의 투명성이나 공정성을 요구하며 네이버가 자의적으로 언론 길들이기를 하고 있다는 비판을 쏟아냈다.

하지만 지난해 말을 기점으로 네이버가 뉴스 검색제휴에 있어 한층 ‘관대’해졌다는 말들이 나오고 있다.  나아가 네이버가 뉴스 검색 제휴를 전면 개방한다는 소식도 들린다. <미디어오늘> 이정환 기자는 “지난해 검색제휴 전면 개방 얘기가 나오긴 했다”면서 “네이버가 공식적으로 밝히진 않았지만 내부적으로 논의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뉴스제휴에 대한 네이버의 스탠스 변화를 모바일 시대를 준비하는 전략적 제스쳐로 보는 시각도 있다.

언론계 한 관계자는 “지금은 모든 미디어 플랫폼이 PC에서 모바일로 가는 중이다. 네이버도 마찬가지”라며 “이런 상황에서 네이버가 PC기반의 콘텐츠 제휴에 인색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했다. 실제 네이버는 뉴스제휴에 있어 웹과 모바일을 별도로 가져가고 있는데, 최근의 뉴스스탠드 신규 입점이나 검색 제휴는 모두 웹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이정환 기자도 “미디어 흐름이 웹에서 모바일로 일찌감치 넘어갔는데 언론사들만 죽어가는 뉴스스탠드를 붙잡고 서로 간 아웅다웅하는 안타까운 상황”이라며 “언론사들도 이제는 다른 방향에서 모바일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측 “심사기준 변화없어”

한편에선 네이버가 언론사들에 ‘맛없는 당근’을 쥐어줬다는 비판적 해석도 뒤따른다. 뉴스스탠드 입점만으로는 트래픽 유입률 면에서 언론사들이 기대하는 만큼 ‘드라마틱한’ 효과를 거두기가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이정환 기자는 “이번에 (뉴스스탠드에) 새로 들어간 매체들은 전부 선택형이라서 독자 유입률에서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뉴스스탠드에 들어갔다는 상징적 홍보효과는 있을 수 있겠지만, 마이뉴스로 설정하는 독자들이 늘어나지 않는 이상 페이지뷰가 확 늘어나진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그러면서 “뉴스스탠드 선택형과 기본형은 이용자 선호도에 따라 6개월마다 심사를 거쳐 변경된다. 다시 말해 신규 입점 매체가 늘어난 만큼 탈락 매체도 생겨나 물갈이되는 식”이라며 “그에 대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기준이 있느냐 하는 비판도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네이버와 언론사간 뉴스제휴를 둘러싼 해석이 분분한 가운데, 당사자인 네이버측은 지나친 확대해석이라는 입장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뉴스제휴 심사기준이나 규정이 바뀐건 전혀 없다”며 “다만 공지사항에서도 언급했듯, 뉴스스탠드나 검색제휴 참여 기회를 높이기 위해 ‘서비스 종료나 탈락 후 재신청하려면 1년이 경과해야 한다’는 정책만 폐지해 개방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뉴스제휴 문턱을 낮춘 것 아니냐는 시각에 대해서도 “일부에선 더 빡빡해졌다는 반응도 있다”며 “매체별로 차이가 있는 듯하다”며 선을 그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