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편견 여전, 일부 취약계층 대상 활동은 사회공헌 영역에서 커버
해외 비교해 집단의 구매력 한계, 보수적 문화서 얻는 것보다 잃는 게 크다 판단
전문가들 “우리나라에서 ‘소수자’는 모두가 이해하는 언어라고 보기 어려워...공생의 의미 보여주면서 부가적 (마케팅) 효과 노려야”
해외 비교해 집단의 구매력 한계, 보수적 문화서 얻는 것보다 잃는 게 크다 판단
전문가들 “우리나라에서 ‘소수자’는 모두가 이해하는 언어라고 보기 어려워...공생의 의미 보여주면서 부가적 (마케팅) 효과 노려야”

[더피알=문용필 기자] 해외에선 소수자를 위한 다양한 기업 캠페인이나 브랜드 액티비즘이 활성화되고 있지만 한국에선 여전히 ‘먼 나라 이야기’다. 소수자를 위한 캠페인들은 정부나 지자체 같은 관(官)에서 주도하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먼저 보면 좋은 기사: ‘마이너리티 마케팅’, 어떻게 주류와 만나나
실제로 국내 기업들이 마케팅이나 PR활동을 통해 소수자 목소리를 대변하는 케이스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회공헌으로 장애인이나 탈북민들, 다문화가정을 돕는 활동이 존재할 뿐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소수자 마케팅이나 캠페인으로는 얻을 것보단 잃을 것이 더 크다는 판단 때문이다. 한국에도 성소수자들이 존재하지만 아직은 대다수가 ‘음지’에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과거보단 사회적 인식이나 상황이 나아졌다고 해도 정치적 보수층과 일부 개신교 신자 등 성소수자를 바라보는 시선에 편견이 묻어있는 경우가 많다.
이 기사의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매거진 정기구독자의 경우 회원가입 후 로그인 하시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he PR Times 더피알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