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김영순 기자 |두산그룹이 인공지능(AI) 시대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대규모 경영진 출장에 나섰다. 박지원 그룹부회장을 비롯한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진들이 22일부터 25일까지 미국 시애틀과 실리콘밸리를 방문해 글로벌 AI 기업들과의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고 23일 발표했다.
이번 출장에는 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부회장, ㈜두산 유승우 사장, 두산로보틱스 김민표 부사장 등 주요 계열사 CEO와 지주부문 최고전략책임자(CSO) 김도원 사장을 포함한 각 사 CSO가 참여한다. 이들은 아마존, 엔비디아, 퍼플렉시티 등 AI 산업 선도 기업들을 방문해 기술 현장을 직접 살펴보고 관계자들과 미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경영진은 또한 스탠포드대학교 AI 연구소 '스탠포드 HAI(Human-centered AI)' 연구진과 만나 AI 기술 활용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고, 맥킨지와 BCG 등 컨설팅 업계 전문가들과도 AI 혁신을 주제로 논의한다. 피지컬인텔리전스 등 피지컬 AI와 에이전틱 AI를 선도하는 스타트업과의 만남도 예정되어 있다.

박지원 그룹부회장은 동반한 경영진에게 "활용 가능한 모든 영역에서 AI를 접목해야 경쟁에서 앞서갈 수 있다"며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고 강조했다고 회사 측이 전했다.
22일 첫 방문지인 시애틀 아마존 본사에서 경영진은 AI 기반 제조 및 사무 생산성 개선 프로젝트 사례를 살펴보고, 물류센터를 방문해 현장에 적용된 AI 및 로보틱스 기술을 확인했다. 아마존은 AI 기반 음성비서 알렉사 운영과 함께 고객 패턴 분석, 물류창고 운영, 로봇 자동화 등 다양한 업무 분야에 AI를 적용하고 있다.
이후 GPU 기술력을 바탕으로 AI 생태계를 선도하는 엔비디아를 방문해 에이전틱 AI와 피지컬 AI에 대한 기술 현황과 사례를 확인하고, 각 사업부문별 피지컬 AI의 비전과 미래전략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두산은 에너지와 건설기계 등 영위하고 있는 산업 특화형 피지컬 AI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피지컬 AI는 인간 수준의 의사결정 능력을 지닌 AI가 실제 기계나 로봇과 같은 실물 하드웨어에 적용돼,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스스로 상황을 인지하고 판단 및 행동까지 수행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경영진은 두산과 산학 협력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스탠포드 HAI에서 최예진 교수 등 주요 연구진을 만나 AI 기술 현황 전반에 대해 학습하는 시간을 갖는다. 최 교수는 시사주간지 '타임(TIME)'이 발표한 'AI분야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TIME 100 AI 2025)'에 2023년과 2025년 연속으로 선정됐다.
두산은 지난 4월 글로벌 산업재 기업 중 최초로 HAI와 산학 협력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만남에서 경영진은 로보틱스, 전통제조업 등 분야에 적용될 AI 기술의 발전방향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받고, 두산 관련 사업과 연관된 HAI의 연구성과를 확인할 예정이다.
4일간 진행되는 이번 출장은 식사 시간을 제외하고는 빈 시간이 없을 정도로 빡빡한 일정으로 구성됐다. 두산 관계자는 "두산은 그동안 AI 관련 조직을 강화하고, 경영진을 대상으로 AI 집중교육을 진행해 왔다"며 "각 사 경영진은 이번 출장을 계기로 AI 혁신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며, 실제 사업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찾아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