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장이 보는 가짜뉴스 문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장이 보는 가짜뉴스 문제
  • 강미혜 기자 (myqwan@the-pr.co.kr)
  • 승인 2019.01.15 15: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년기획 인터뷰-커뮤니케이션을 묻고 답하다 ⑥] 권헌영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장

[더피알=강미혜 기자] 커뮤니케이션을 둘러싼 모든 환경이 바뀌었고 지금도 빠르게 바뀌고 있다. 미디어 간 경계는 사라지고 업의 개념은 재정의되고 있으며 학문은 융·복합의 길로 들어섰다. 변화의 연장선상에서 2019년 주목할 이슈와 현안은 무엇일까? 커뮤니케이션 분야를 대표하는 6개 학회 수장들에게 각각 세 가지 질문을 던졌다. 

한국언론학회 이재진 회장 (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한국방송학회 주정민 회장 (전남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한국광고학회 이시훈 회장 (계명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한국PR학회 이유나 회장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한국광고홍보학회 고한준 회장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권헌영 회장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권헌영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장

2019년 주목할 사이버커뮤니케이션 이슈는.

2020년 총선을 앞두고 여러 이슈가 제기될 듯합니다. 그 중 가장 주목하는 분야는 이른바 가짜뉴스 문제입니다.

종편이나 여타 방송채널 등 보도를 다루는 미디어가 많이 확대됐습니다. 여기에 더해 유튜브 등 MCN 채널 등을 통한 의견 표현 등이 확산되면서 사실 확인에 대한 전문가적 기본조치의 문제, 명예훼손의 법적 문제, 편향성의 문제 등 다양한 미디어 정책적 이슈가 도출되고 있습니다. 그런만큼 가짜뉴스 문제에 대해 학문적 관심과 사회적 소통 측면에서 보다 깊은 관심을 가지려 합니다.

지적하신대로 온라인을 중심으로 가짜뉴스가 난립하고 프레임 전쟁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발전적 대안 없이 표류 내지 격화되는 이런 현상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다고 보십니까.

가짜뉴스는 온라인 편집권 문제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본질적으로 온라인 콘텐츠 생태계를 기반으로 하고 뉴스보도 등의 편집권과 배포권의 언론기관 개입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최초 생산자-편집자-배포자의 전문가적 윤리문제를 살피는 것입니다.

언론인은 훈련받고 경쟁을 통해 직업적 활동에 나섭니다. 그러나 언론기관에 종사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교육이나 훈련 없이 콘텐츠 생산에 돌입하는 이른바 프로슈머가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들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합니다. 악의적인 가짜뉴스 생산에 대해서는 법적 책임과 더불어 직업적 책임이 더욱 강화돼야 합니다.

통상 선거철이 가까워 올수록 가짜뉴스는 더욱 기승을 부린다.
2020년 총선을 앞두고 가짜뉴스 문제가 더욱 우려된다.

드루킹 사건을 계기로 네이버가 뉴스 댓글 정책을 바꿨는데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생태계 정화에 기여할 수 있을까요?

기술과 언론생태계의 진화 또는 발전은 늘 상호작용을 거쳐 일어납니다. 네이버의 댓글 정책 변화도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네이버가 뉴스 소비자의 참여를 더 확대하고 스스로 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은 바람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인, 언론사, 그리고 뉴스소비자, 학자 등 다양한 그룹을 통해 정책방향 설정과 집행 후 검증 등 보다 과학적 접근을 통해 공론의 장에서 인정받는 뉴스 플랫폼으로 성장하는 것을 전략으로 삼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