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피알=한민철 기자 ㅣ 국내 신용평가사들이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을 두고 사업·재무 안전성 제고 등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17일 발표한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에 대해 주요 신용평가업체에서는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현금 창출력 강화 등을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선 한국신용평가는 “SK이노베이션의 SK E&S 흡수합병은 에너지 부문 내 사업 기반 다각화를 통한 사업 안정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며 “합병 이후 강화된 현금 창출력은 SK온의 차입 부담과 영업실적 부진이 SK이노베이션의 신용도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향후 배터리 부문의 가시적인 영업 성과와 기업공개(IPO) 등에 기반한 재무구조 안정화 여부가 합병 이후 SK이노베이션의 중장기적인 신용도에 중대한 결정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기업평가도 SK이노베이션의 주력이었던 정유, 화학, 이차전지에 발전 부문 등이 더해지면서 연결 기준 사업 포트폴리오가 다각화되며 영업 현금 창출력이 제고될 것이라고 봤다.
SK E&S가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 대해서는 “RCPS 상환 부담이 현실화하더라도, 합병법인의 자본 규모가 40조 원 수준으로 예상되는 점을 감안할 때 재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SK온과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SK엔텀의 합병에 대해서는 “합병으로 인한 차입부담 완화와 영업실적 하방 지지가 일부 긍정적으로 작용해, SK온의 신용도 하향 압력이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한국신용평가는 “신용도 방어를 위해서는 자체 사업 펀더멘털 개선과 자구책 시행을 통한 추가적인 재무부담 완화가 필요하다”며 “합병에 따른 즉각적인 재무구조 개선 효과는 크지 않지만, 기업가치 제고를 통해 IPO 시점이 앞당겨지면 자본확충 규모가 증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법인은 내달 27일 예정된 주주총회에서 합병안이 승인되면 오는 11월 1일 공식 출범한다.
SK 측은 두 회사의 합병에 따른 기대 효과로 통합 에너지 포트폴리오 구축에 따른 경쟁력 강화, 안정적인 재무·손익 구조 구축, 사업·자원·역량 결집을 통한 시너지 기반의 추가 수익성·성장성 확보를 강조했다.
이를 통해 2030년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20조 원 규모의 종합 에너지회사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다. 20조 원은 배터리 10조 원, 베터리를 제외한 정유화학 사업 5조 원, E&S 3조 원에 두 회사의 시너지 약 2조 원이 더해진 목표 수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