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피알=김민지 기자 | SK이노베이션과 SK E&S 합병이 의결되면서 SK그룹이 대대적인 사업 재편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정유·석유화학·배터리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SK이노베이션과 도시가스 지주회사인 SK E&S의 합병으로 자산 100조원, 매출 88조원의 초대형 에너지 전문 기업이 탄생할 전망이다.
SK이노베이션과 SK E&S는 17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양사간 합병 안건을 의결했다. 합병안이 다음달 27일 예정된 주주총회에서 승인되면 합병법인은 오는 11월 1일 공식 출범하게 된다.
업계에서는 두 회사의 합병은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자회사 SK온의 실적 부진으로 인한 재무 부담을 낮추는데 기여할 목적을 두고 있다고 해석했다. SK온은 10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SK E&S의 자금 지원으로 이를 해소할 전망이다.
앞서 업계는 양사의 합병비율을 1대 2로 예상했으나 최종 1대 1.1917417로 합병했다. SK이노베이션 측은 SK이노베이션과 SK E&S 각각의 기업가치를 근거로 산출됐다고 밝혔다.
합병비율에 따라 상장사인 SK이노베이션이 합병신주를 발행해 SK E&S의 주주인 SK㈜에 4976만9267주를 교부한다. SK이노베이션 신주는 11월20일 상장될 예정으로, 합병 후 SK이노베이션 최대주주인 SK㈜의 지분율은 36.22%에서 55.9%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양사는 합병으로 경쟁력 제고와 재무·손익구조 강화 측면에서 탄력을 받을 것으로 관측했다. 합병회사는 에너지 영역 전반을 모두 사업 포트폴리오로 구축하게 된다.
또한 합병회사는 자산 100조원 수준의 외형을 갖추는 것은 물론 EBITDA(상각전 영업이익)는 합병 전 보다 1.9조원 늘어난 5.8조원 수준으로 커져 재무/손익 구조도 강화하게 된다.
박상규 SK이노베이션 사장은 “양사의 합병은 에너지 산업을 둘러싼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한 구조적이고 근본적인 혁신”이라면서 “SK이노베이션은 이번 합병을 통해 현재부터 미래까지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는 ‘Total Energy & Solution Company’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며 합병 의미에 대해 밝혔다.
추형욱 SK E&S 사장은 "이번 합병으로 양사 모두 기존 사업역량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미래 에너지 핵심 사업의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SK E&S는 합병을 통한 시너지를 바탕으로 기존 4대 핵심사업 중심의 그린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해, 미래 에너지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SK그룹의 에너지 계열사들의 구조 개편은 계속해서 이뤄지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산하 원유·석유제품 트레이딩 기업인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SK에너지의 탱크터미널 사업을 하는 SK엔텀을 SK온과 후속 합병하는 안이 17일 이사회에서 함께 통과됐다.
이번 3사간 합병은 트레이딩 사업과 탱크 터미널 사업에서 나오는 5천억원 규모의 추가 EBITDA를 기반으로 수익 구조를 개선하며 SK온의 사업 지속가능성을 강화시킬 전망이다.
18일 SK㈜ 이사회에서는 자회사인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를 SK에코플랜트의 자회사로 편입하는 안건도 상정한다.

